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우리 오라베 거동 보소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성군 신평면 중률리 밤실의 우리 오라베 거동 보소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0121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의성군 |
생산지역 상세 | 신평면 중율리(구 중률리) 밤실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2 , 우리오라베거동보소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경상북도 , 경북 , 의성군 , 1994 , 1995 , 우리 오라베 거동 보소 , 천우화 , 독창 , |
실연자 | 천우화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천우화 |
지역개관 | 의성군 신평면 중률리 밤실은 임진왜란 이전부터 있었으니 약 450여년의 역사를 가진다. 현재 마을에는 80여호가 있는데, 30호가 안동 김씨이고,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현재에도 동제를 지낸다. 동제는 느티나무 밑에 있는 제당에서 지낸다. 육지의 섬처럼 느껴 질만큼 외진 곳이다. 마을 사람들은 인심이 순후하고 협동심이 강하다. 어사용, 그네 뛰는 소리 등 독특한 민요가 보전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21일에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중률리) 밤실에서 채집한 우리 오라베 거동 보소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천우화가 참여하였다. 이 노래의 사설은 모심는 소리에서 많이 나오는 것이다. 올케와 시누이가 물에 빠졌는데 오라버니가 자기 마누라(올케)만 건져내자 동생(시누이)이 죽어가면서 원망을 하는 내용이다. |
가사 | 거동보소 거동보소
우리 오라베 거동보소 우리 형님 근지치고1) 요 내 나는 밀어치네 앞에 가는 구름짱아 뒤에 가는 바람짱아 우리 집에 가거들랑 우리 어매한테 전해 주소 우리 어매 알았으면 받은 밥상 물러치고 보선발로 내달일킨데 울 아버지 알았으면 받은 밥상 물러치고 진대설대2) 뻗치 물고 양발발로3) 내달일 것을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상주함천 나는 가네 분통겉은 요내 얼굴 고기밥이 다여되네 산동겉은4) 이내 머리 버들가지 전장하네 1) 근지치고 : (물에 빠진 것을) 건져주고. 2) 진대설대 : 긴 담뱃대. 3) 양발발로 : 신 벗은 발로. 4) 산동겉은 : 삼단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