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네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의성군 신평면 중률리 밤실의 그네뛰는소리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운한, 윤달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운한, 후창/윤달순 외 |
지역개관 | 의성군 신평면 중률리 밤실은 임진왜란 이전부터 있었으니 약 450여년의 역사를 가진다. 현재 마을에는 80여호가 있는데, 30호가 안동 김씨이고,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현재에도 동제를 지낸다. 동제는 느티나무 밑에 있는 제당에서 지낸다. 육지의 섬처럼 느껴 질만큼 외진 곳이다. 마을 사람들은 인심이 순후하고 협동심이 강하다. 어사용, 그네 뛰는 소리 등 독특한 민요가 보전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월 21일에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중률리) 밤실에서 채집한 그네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운한, 윤달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단오 때 여인들이 그네를 뛰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이 마을 어른들 말로는 서방이 장가를 와서 처자와 정을 붙이기 위해서 쌍그네를 뛰게 만드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라고 한다. 쌍그네의 현지 명칭은 상근디 이다. 배근디,배부래그네 라고 하는 마을도 있다. |
가사 | 어부레이수나1)
어부레이수나 저 건네 저 묵밭에 어부레이수나 소도 들고 말도 든다 어부레이수나 아해중아 말 몰어라 어부레이수나 어른중아 시2) 몰어라 어부레이수나 남갑사 붕어댕기 어부레이수나 펄렁펄렁 펄럭인다 어부레이수나 장부간장 다 녹이네 어부레이수나 일천간장 다 녹는다 어부레이수나 어부레이수나 어부레이수나 이 빠진 데 박씨 박고 어부레이수나 코 빠진 데 동곳 박고 어부레이수나 눈 빠진 데 불콩 박고 어부레이수나 귀 빠진 데 신짝 박고 어부레이수나 머리 신데 먹칠하고 어부레이수나 녹음방초 성화시야 어부레이수나 해난 어이 수이 가노 어부레이수나 오동추야 긴긴 달에 어부레이수나 해는 어이 더디던고 어부레이수나 건너 비탈 좁은 길로 어부레이수나 아해 하나 올라가면 어부레이수나 어예 갈꼬 어예 갈꼬 어부레이수나 한양 오백리 어예 갈꼬 어부레이수나 앞산아 당겨라 어부레이수나 뒷산아 밀어라 어부레이수나 임아 임아 정든 임아 어부레이수나 이 내 줄을 잡지 말게 어부레이수나 줄 떨어지면 정 떨어진다 어부레이수나 1) 어부레이수나 : 어울렸다 멀어졌다 하는 모양. 남녀가 함께 어울린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2) 시 : 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