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동, 최정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김오동, 나/최정득 외 |
지역개관 |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신라 고촌으로 옛날 한 지관이 마을 건너편 산이 마치 수레와 같이 생겼다 하여 차산(車山)이라 불렀던 것이 마을으로 되었다고 한다. 차산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3천여 두락(斗落)의 문전옥답을 끼고 120여 가구가 농사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민속들이 많이 잔존해 있는 마을이다. 이곳의 차산농악은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농악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0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동, 최정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 노래로는 에이요 오 홍해야의 가락이 대표적인 노래며, 다른 지역의 상사디야소리와 대조를 이룬다. 노래의 중간에 이히히 소리가 흥을 돋우고 있다.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 할 때 불렀다. |
가사 | <진옹헤야소리>
에헤요 오홍헤야 에이홍 오홍헤야 논을 매는 농부들아 에이홍 오홍헤야 오뉴월 삼복더위 에이홍 오홍헤야 배는 고파서 등에 붙고 에이홍 오홍헤야 목은 말라서 불 붙었네 에이홍 오홍헤야 구실 같은 땀이 흘러 에이홍 오홍헤야 목이 말라서 못하겠다 에이홍 오홍헤야 못하리러 못하리라 에이홍 오홍헤야 농부종사를 못하리라 에이홍 오홍헤야 어떤 사람은 팔자 좋아 에이홍 오홍헤야 고대광실 높은 집에 에이홍 오홍헤야 사모에는 핑경달아 에이홍 오홍헤야 동남풍이 들이 불어 에이홍 오홍헤야 핑경소리가 듣기 좋다 에이홍 오홍헤야 이 팔자는 무신 죄로 에이홍 오홍헤야 농부종사 되였던고 에이홍 오홍헤야 <짜른옹헤야소리> 옹헤야 옹헤야 얼씨구나 옹헤야 절씨구나 옹헤야 지화자자 옹헤야 좋을씨고 옹헤야 적수자는1) 옹헤야 학을 타고 옹헤야 맹호년은 옹헤야 소를 타고 옹헤야 대국천자는 옹헤야 꾀꼬리2) 타고 옹헤야 찌꺽찌꺽 옹헤야 나오실 때 옹헤야 이도령은 옹헤야 탈 것 없어 옹헤야 춘향으 배를 옹헤야 타고 논다 옹헤야 어화둥둥 옹헤야 내 사령아 옹헤야 뒤를 봐도 옹헤야 내 사령아 옹헤야 앞을 봐도 옹헤야 내 사령아 옹헤야 돈을 준들 옹헤야 너를 사나 옹헤야 금을 준들 옹헤야 너를 사나 옹헤야 금도 은도 옹헤야 내다 싫고 옹헤야 어머님이 옹헤야 정한 배필 옹헤야 나는 좋다 옹헤야 오 홍 헤야 (다같이 ) 오호 울래하 이후후후 1) 적수자 : 적송자(赤松子). 2) 꾀꼬리 : 코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