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논매고오는소리-방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동, 최정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오동, 후창/최정득 외 |
지역개관 |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신라 고촌으로 옛날 한 지관이 마을 건너편 산이 마치 수레와 같이 생겼다 하여 차산(車山)이라 불렀던 것이 마을으로 되었다고 한다. 차산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3천여 두락(斗落)의 문전옥답을 끼고 120여 가구가 농사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민속들이 많이 잔존해 있는 마을이다. 이곳의 차산농악은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농악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0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채집한 방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동, 최정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방아소리는 주로 조짐노래와 괭이말 타기로 쓰인다. 이 마을에서는 괭이말 타기 소리이다. 논매기를 마치고 마을로 돌아올 때 부르는 소리이다. |
가사 | 아호 방헤야
아호 방헤야 방헤 방헤 방하로다 아호 방헤야 혼자 찧는 독구방하 아호 방헤야 둘이 찧는 디딜방아 아호 방헤야 뺑뺑 도는 돌방안가 아호 방헤야 만첩청산 물방아요 아호 방헤야 그 방하가 어디메야 아호 방헤야 강타공에 매여방아 아호 방헤야 얼커덩 덜키덩 쫄는 방하 아호 방헤야 언제나 다 찧고 마실가꼬 아호 방헤야 방헤쪟는 지 자매들 아호 방헤야 방헤삮이나 알구 찧나 아호 방헤야 삼시북고 돈반씩이다 아호 방헤야 바람아 부지마라 아호 방헤야 나뭇잎이 떨어진다 아호 방헤야 세월아 가지 마라 아호 방헤야 우리 청춘 다 늙는다 아호 방헤야 달카달카 우지마라 아호 방헤야 맹사군이 아니냐 아호 방헤야 니가 울만 날이 새가 아호 방헤야 날이 새면 나 죽는다 아호 방헤야 나 죽기는 설않으나 아호 방헤야 한 분뿐인 우리 부친 아호 방헤야 어느 누가 동경할꼬 아호 방헤야 송백수 푸른 가지 아호 방헤야 높다랗기 줄을 매여 아호 방헤야 녹음홍색 미인들은 아호 방헤야 오락가락을 추천한데 아호 방헤야 추천시대를 모르는고 아호 방헤야 (다같이) 아호 울레야 이후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