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보리타작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보리타작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동, 최정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오동, 후창/최정득 외 |
지역개관 |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신라 고촌으로 옛날 한 지관이 마을 건너편 산이 마치 수레와 같이 생겼다 하여 차산(車山)이라 불렀던 것이 마을으로 되었다고 한다. 차산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3천여 두락(斗落)의 문전옥답을 끼고 120여 가구가 농사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민속들이 많이 잔존해 있는 마을이다. 이곳의 차산농악은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농악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0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채집한 보리타작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동, 최정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보리타작을 하면서 하는 소리이다. 신문지 뭉치를 두드리며 소리를 했다. |
가사 | 옹헤야
옹헤야 얼씨구나 옹헤야 절씨구나 옹헤야 지화자자 옹헤야 좋을시고 옹헤야 이 보리가 옹헤야 개구리 보린가 옹헤야 폴짝 폴짝 옹헤야 뛰기만 한다 옹헤야 이 보리가 옹헤야 도깨비 보린가 옹헤야 보리짚 속으로 옹헤야 살살 기네 옹헤야 이 보리가 옹헤야 양반의 보린가 옹헤야 수염도 질다 옹헤야 이 보리가 옹헤야 상놈의 보린가 옹헤야 수염도 뭉그다 옹헤야 얼씨구나 옹헤야 절씨구나 옹헤야 자화자자 옹헤야 좋을 씨고 옹헤야 오뉴월아 옹헤야 삼복더위 옹헤야 배는 고파 옹헤야 등에 붙고 옹헤야 등은 고파 옹헤야 배에 붙고 옹헤야 목이 말라 옹헤야 못하겠다 옹헤야 구실 같은 옹헤야 두 눈에서 옹헤야 땀이 흘려 옹헤야 들어 가니 옹헤야 눈 따갑아 옹헤야 못하겠다 옹헤야 얼씨구나 옹헤야 얼씨구나 옹헤야 정나 세칸 옹헤야 강릉국에 옹헤야 산도 좋더라 옹헤야 물도 좋고 옹헤야 아야어여 옹헤야 모든 곳에 옹헤야 무슨선녀1) 옹헤야 노는 곳까 옹헤야 만고절색 옹헤야 고흔 얼글 옹헤야 우민이가2) 옹헤야 새로 났네 옹헤야 위공자에 옹헤야 따님인가 옹헤야 초패왕의 옹헤야 부인이과 옹헤야 미인을 옹헤야 고울씨고 옹헤야 미인태도 옹헤야 이상하다 옹헤야 단청으로 옹헤야 깍아낸듯 옹헤야 백옥으로 옹헤야 지어낸 듯 옹헤야 옥빈 고아3) 옹헤야 생긴 양은 옹헤야 구름 속에 옹헤야 신선이요 옹헤야 팔자 아미4) 옹헤야 듣던 양은 옹헤야 주야공산 옹헤야 반달이라 옹헤야 시오 십육 옹헤야 좋은 시에 옹헤야 우리 님을 옹헤야 만냈도다 옹헤야 (다같이 ) 오호 울래하 이후후후 1) 무슨선녀 : 무산선녀(巫山仙女). 2) 우민이가 : 우미인(虞美人)이. 3) 옥빈고아(玉鬢高雅) 4) 아미(蛾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