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동, 최정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오동, 후창/최정득 외 |
지역개관 |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신라 고촌으로 옛날 한 지관이 마을 건너편 산이 마치 수레와 같이 생겼다 하여 차산(車山)이라 불렀던 것이 마을으로 되었다고 한다. 차산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3천여 두락(斗落)의 문전옥답을 끼고 120여 가구가 농사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민속들이 많이 잔존해 있는 마을이다. 이곳의 차산농악은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농악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0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동, 최정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발인할 때부터 상여를 내려놓을 때까지 상여소리 일체가 담겨있다. 선창자가 상여에 타고 북을 치면서 앞소리를 하면, 상여꾼들이 뒷소리를 받는다. |
가사 | <발인>
영이지가 왕진유택 제진결래 영결종천1) 어이어이 어이 어이 <상여가는 소리> 에호에호 에화넘차 에헤헤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수물 여덟 에헤에 상두꾼아 에헤에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이 내 한말을 에헤에 또 들어보소 에헤호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대궐 겉은 에헤헤 저 집을랑 에헤헤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빈 절 같이도 에헤헤 비아 놓고 어허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꽃과 같은 에헤에 저 자자식 에헤호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염나야 대왕을 에헤헤 몬 친해서 어허홍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황천길이 에헤헤 왠 말인고 어허홍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북망산천이 에헤헤 멀다 해도 에헤호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저 건너 저 산이 에헤헤 북마로다2) 에헤호 에호 에호 에화넘차 에헤호 허허 허허허 에화넝차 에헤호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세상천지 에헤에 사람들아 어허아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맏상주는 걱정상주 중간상주 호강상주요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끝에 상주는 에헤에 눈물상주다 에헤에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세상천지 사람들아 이 내 한 말 또 들어보소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이 세상에 나온 우리 뉘 덕으로 나왔던고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석가여래 공덕으로 아버님전에 삐를 빌고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어머님전에다 에헤에 살을 빌려 에헤헤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칠성님전 명을 얻고 제상님전3) 복을 받아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홍 우리야 인생 에헤헤 탄식하야 에헤호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한두살에 철을 몰라 부모은공 다 못하고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이삼십이 넘어서도 부모은공 다 못갚아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무정세월 에헤에 여루하야4) 에헤에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원수백발이 닥쳤으니 구석 구석 극락이라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인간칠십 에헤에 고래희라 에헤호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이팔청춘 소년들아 백발보고 윗지마라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우리도 어제는 청춘이데 오날 백발이 잠깐이다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눈 어덥고 귀 어덥어 망여지라 무얼 보니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이면은 연연홍이요 왕손도 귀불귄가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할 수 없다 할 수 없다 호환백발 늙어 가니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인간에 이 공도를 어느 누구가 막으리요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춘추는 년년홍이요 왕손도 귀불귀라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우리 인생 늙어 가니 다시 젊기 어려워라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인간백년을 다 살아도 잠든 날과 병든 날을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걱정근심을 다 지하니 단 사십도 몬 살았네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아침날에 성튼 내 몸 지녁날에 병이 들려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부르나니 울엄마요 찾느나니 냉수로다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어일없다 어일없다 이 내 신세 어일없네 허허 허허홍 어화넘차 에헤홍 한 분 가니 에헤헤 못오더라 에헤호 허허 허허홍 에화넘차 에헤호 <염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이 세상이 좋다 해도 나무아미타불 후시상만 못하던가 나무아미타불 염나야대왕을 몬 친해서 나무아미타불 한분 죽어 몬 민해여5) 나무아미타불 황천길이 왠 말인고 나무아미타불 우리 인생 한 분 가니 나무아미타불 오색톨랑 밥을 삼고 나무아미타불 금잔딜랑 옷을 삼아 나무아미타불 송백을랑 울을 삼고 나무아미타불 까막까치 벗을 삼아 나무아미타불 어느 친구 날 찾겠노 나무아미타불 어는 벗님이 날 찾으리 나무아미타불 이 세상을 하직하고 나무아미타불 후시상을 보라간다 나무아미타불 <상여 놓는 소리> 위역사 위역사 위역사 위역사 위역사 위역사 1)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靈已旣駕 往卽幽宅 齋陳遣禮 永決終天). 혼령이 이미 상여에 실렸으니 유택으로 가야합니다. 제물을 배설해서 보내는 예의를 갖추니 영원히 헤어지고자 합니다. 2) 북마로다 : 북망(北邙)이로다. 3) 제성님전 : 제석님전. 4) 여루하야 : 여류(如流)하여. 5) 한분 죽어 몬민해여 : 한번 죽음 못 면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