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동, 최정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김오동, 후창/최정득 외 |
지역개관 |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신라 고촌으로 옛날 한 지관이 마을 건너편 산이 마치 수레와 같이 생겼다 하여 차산(車山)이라 불렀던 것이 마을으로 되었다고 한다. 차산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3천여 두락(斗落)의 문전옥답을 끼고 120여 가구가 농사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민속들이 많이 잔존해 있는 마을이다. 이곳의 차산농악은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농악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10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동, 최정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봉분을 다지며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어허 달구야
어허 달구야 이 산 저 산을 다 밟아도 어허 달구야 명산 뒤기가 여기던가 어허 달구야 좌청룡 우백호라 어허 달구야 아다 맞게도 자리를 잡아 어허 달구야 맏상주에 벼실하고 어허 달구야 형지간에도 우애있고 어허 달구야 일가간에도 화목하고 어허 달구야 이 자리를 잘 잡았나 어허 달구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