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주굿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지신밟기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의 지신밟기소리-성주굿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동 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쇠·가창/김오동, 장구/최정득, 박용희 징/김은탁, 조승한 북/박영수, 김경배, 박용만, 목고동(나발)/백용만 |
지역개관 |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신라 고촌으로 옛날 한 지관이 마을 건너편 산이 마치 수레와 같이 생겼다 하여 차산(車山)이라 불렀던 것이 마을으로 되었다고 한다. 차산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3천여 두락(斗落)의 문전옥답을 끼고 120여 가구가 농사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민속들이 많이 잔존해 있는 마을이다. 이곳의 차산농악은 경북지방의 대표적인 농악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0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채집한 성주굿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동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초에 집집을 돌며 지신밟기를 하면서 하는 소리 가운데 대청마루에서 하는 성주풀이. 풍물연주는 차산농악단이 맡았다. 쇠:김오동, 장구:최정득, 박용희, 징:김은탁,조승한, 북:박영수, 김경배, 박용만, 목고동(나발):백용만. |
가사 | (풍물)
“자 이집 성주를 한번 모셔봅시다” 에여루 지신아 지신아 밟아 눌라보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모시보자 모시보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이 집아 성주를 모시보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성주야 본향이 어디던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경상도라 안동땅아 (풍물) 에여라 지신아 제비야원에다 솔씨를 받아 (풍물) 에여라 지신아 소평 대평1) 던졌더니 (풍물) 에여라 지신아 그 솔이 점점 자라나여 (풍물) 에여라 지신아 황장목이2) 되였구나 (풍물) 에여라 지신아 집이나 한쌍 지여보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앞집이 김대목아 (풍물) 에여라 지신아 뒷집에라 박대목아 (풍물) 에여라 지신아 연장망태 챙겨 메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살매망태3) 걸러 미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갓끈을랑 목에 걸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담배야 설대야 허리 꼽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가자 가자 찾어가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팔도강산을 찾어가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팔도강산을 다 댕기도 (풍물) 에여라 지신아 까마야 까치야 집을 지어 (풍물) 에여라 지신아 부정이 타여 못 씰레라 (풍물) 에여라 지신아 상상봉을 올라가니 (풍물) 에여라 지신아 눈비 맞고야 키은 나무 (풍물) 에여라 지신아 동쪽끝으로 뻗은 가지 (풍물) 에여라 지신아 소톱 대톱 걸어 놓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수루룩 수루룩 톱줄이야 (풍물) 에여라 지신아 곧은 낭을 베를 치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굽은 낭은 배를 처여 (풍물) 에여라 지신아 마디마디 궁글 뚧어 (풍물) 에여라 지신아 가는 낭근 사목도요4) (풍물) 에여라 지신아 굵은 낭은 팔목도라 (풍물) 에여라 지신아 사목도야 팔목도야 (풍물) 에여라 지신아 이 나무를 욍기주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호박아 주치야5) 유리지동6) (풍물) 에여라 지신아 서른 석자 대들보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웃채도 일만 삼칸 (풍물) 에여라 지신아 아래채도 일만 삼칸 (풍물) 에여라 지신아 쌍무지개 도리 얹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시침반을 연목7) 걸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구름으로 산작얽고8) (풍물) 에여라 지신아 오색톨랑9) 알매10) 얹어 (풍물) 에여라 지신아 에헤 그 집 잘 지었다 (풍물) 에여라 지신아 김대목이 지었는가 (풍물) 에여라 지신아 박대목이 지었는가 (풍물) 에여라 지신아 대궐 졌던 도대목이 (풍물) 에여라 지신아 에헤 그 집 잘 지었다 (풍물) 에여라 지신아 주인양반 문을 여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방치장이나 구경하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누야 대보11) 장판방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오동장농 객기수라12) (풍물) 에여라 지신아 입춘 한장 써붙이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입춘하고는 대길이오 (풍물) 에여라 지신아 천증세월은 인증수라13) (풍물) 에여라 지신아 춘만하고는 복만가라14) (풍물) 에여라 지신아 에헤 그 집 잘 지었네 (풍물) 에여라 지신아 이 집 젔고야 삼년만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아들 딸을 칠형제를 (풍물) 에여라 지신아 한 태줄에 점지하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금자동아 옥자동아 (풍물) 에여라 지신아 내가 너를 길를 적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진 자리는 내가 눕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마른 자리 너를 눕혀 (풍물) 에여라 지신아 금옥 같이 길러 다가 (풍물) 에여라 지신아 가자 가자 찾아가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서울이라야 찾어가자 (풍물) 에여라 지신아 경주 서울 첫서울로 (풍물) 에여라 지신아 벼슬문을 들어서니 (풍물) 에여라 지신아 과게야 운이 뺃쳤던가 (풍물) 에여라 지신아 글 한자에 과게했다15) (풍물) 에여라 지신아 삼정승아 육판사요 (풍물) 에여라 지신아 암행어사 점지하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이 집 대주 출읍할16) 때 (풍물) 에여라 지신아 동을 가나 서로 가나 (풍물) 에여라 지신아 남을 가나 북을 가나 (풍물) 에여라 지신아 동서남북을 다 댕기도 (풍물) 에여라 지신아 남읏 눈에 잎이 되고 (풍물) 에여라 지신아 남읏 눈에 꽃이 되여 (풍물) 에여라 지신아 구신아 악담을 다 막아주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일년하고는 열두달아 (풍물) 에여라 지신아 과연하고16) 열석달을 (풍물) 에여라 지신아 삼백하고나 육십오일 (풍물) 에여라 지신아 하루 아적17) 같이도 넹겨주소 (풍물) 에여라 지신아 만복을랑 이 집으로 (풍물) 에여라 지신아 잡구야 잡신은 다 물러서자 (풍물) 1)소평(小坪) 대평(大坪): 작은 들 큰 들. 2)황장목(黃腸木) 3)살매: 연장의 일종인 듯. 4)사(四)목도: 네사람이 메는 목도. 통나무 앞뒤에 줄을 걸어 목도채를 꿰어 양쪽에서 네사람이 어깨에 메고 운반한다. 5)호박아 주치야: 호박돌 주춧돌. 호박돌은 둥근 돌에 구멍을 뚫어 줄을 매 주춧자리를 다지는데 쓰는 돌. 6)유리지동: 도리와 기둥을 이르는 듯. 7)연목(椽木): 서까래. 8)산작 → 산자(橵子). 9)오색톨랑: 오색토(五色土)일랑. 10)알매: 산자 위에 얹는 흙. 11)누야 대보: (뜻 모름). 12)객기수: (뜻 모름). 13)천증세월인증수(天增歲月人增壽). 14)춘만건곤복만가(春滿乾坤福滿家). 15)과게 → 과거(科擧). 16)과연 → 과년: 윤년(閏年). 17)아적: 아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