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남도령과 서처자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 정자동의 남도령과 서처자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순금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순금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 정자동은 구룡산의 줄기가 갈라져 동과 서로 향하여 수많은 산등들이 길게 짧게 높게 낮게 형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산간 오지마을이다. 삼밭이 많이 있고 아직도 베를 짜는 가구가 절반이 넘는다. 60여 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9일에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 정자동에서 채집한 남도령과 서처자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순금이 참여하였다. 경상북도에서 채록한 남도령 서처자 유형의 나물노래 중에서 사설의 내용이 가장 완벽한 형태이다. |
가사 | 나물 뜯으러 가잔다
서문밖에 서처자야 남문밖의 남도령아 나물 뜯어러 가잔다 어느 곳을 들어가꼬 만첩산중 짚은 곳에 지나진 곳을 들어가자 올러가면 올고사리 너러가면 늦고사리 줌줌이 끊어 놓고 뜯기도 안됐는 뚜까리나물 어복 조복 퍽피기 야구다리 줌줌이 뜯어 놓고 잘룩 잘룩 장구나물 쪽박나물 뿔닥꼬야 다까재나물 줌줌이 뜯어 놓고 희뜩 버뜩 희치나물 흔들 흔들 계치나물 줌줌이 뜯어 놓고 보기좋다 어너리 분재나물 허우대 좋다 어너리나물 줌줌이 뜯어 노코 풀피기야 참깨나물 맛조타 곤돌서리 줌줌이 뜯어 놓고 줄란다 줄바나물 줌줌이 뜯어 놓고 빛 좋다 참나물 그래 조타 야아 거너리분재 줌줌이 뜯어 놓고 야 허리굽다 광대서리 줌줌이 뜯어 놓고 십옥보에 귀로마차야 한 바뿌제1) 뜯었구나 뜯어 놓고 남도령 하는 말이 점섬참이 되었구나 점심이나 묵고 보자 남도령 밥은허어 서처자 묵고 서처자 밥은허어 남도령이 묵는다 서처자 반찬은 삼년 묵은 더덕인데 남도령 반찬은 삼년 묵은 된장꼬랑네 나는 된장에다가 그럭 그럭 점섬참을 묵고 나니 사방을 살펴보니끼네 인적이도 적적하다 적적하니야 처마 벚어 차알친다 저고리 벚어 비개하고 헐대 벚어 팽퐁치고 우리 꺼정 놀고 나니끼네 서처자 하는 말이 우리가 이카다가 애기나 동동 서마 어찌 하꼬 남도령 하는 말이 걱정마라 내 주머니에 회초 생강 다 들었다 그럭 저럭 한달 가고 두달 가고 배가 불러오니 서처자 하는 말이 어더로 가꼬 남도령아 만첩산중 깊은 곳에 절간으로 들어가자 절간에 들어가여 스님한테 여쭈니 안된다 우리 절에는 그런 일이 없다 스님요 그 말 마고 거절하지 마소 이 애기를 나여 길러 가지고 스님 행자로 줄 것이니 1) 바뿌제 : 보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