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사용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의 나무꾼신세타령-어사용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봉룡 외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선창/김봉룡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는 예전에는 70여호 였으나, 현재는 30여호이다. 마을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노무옥이라는 곳에서 현재도 서낭당이 있어서 당제를 지낸다. 마을은 논과 밭이 있으며, 밭에는 담배나 고추를 경작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19일에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기리에서 채집한 어사용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봉룡이 참여하였다. 신세타령으로 하는 어사용. 가창자가 젊은 시절의 고생을 회상하면서 실감나게 불렀다. |
가사 | 저 건너 폭포에 물 떨어지는 저 소리는
우리 부모 개장국에 흰밥 말아 놓고 날 부르는 저 소리라 어이 어이 어이 가다가 해 지거든 나무끝에 자질 마소 목사리귀신1) 달려들면 인동환생2) 몬 하리라 해달은 인지 가면 내일 또 오고 모레도 오건만은 우리 부모 한번 가니 다시 못 오시네 화무는 십이봉하니3) 봉이 높어 못오던가 춘수만수택하니4) 물이 깊어 못오던가 어이 어이 어이 1) 목사리귀신 : 나무귀신 2) 인도환생(人道還生) : 사람으도 다시 태어나는 것. 3) 화무(花無)십일홍(十日紅) : 꽃은 열흘 이상 피어 있는 꽃이 드물다는 뜻. 4) 춘수만사택(春水滿四澤) : 봄물이 못에 가득하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