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서원네 맏딸애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중성지의 이서원네 맏딸애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1202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청송군 |
생산지역 상세 | 부남면 중기리 중성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3 , 이서원네맏딸애기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경상북도 , 경북 , 청송군 , 1993 , 1995 , 이서원네 맏딸애기 , 정말순 , 독창 , |
실연자 | 정말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말순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중성지는 교통이 매우 불편한 중산간 마을이다. 영일지역과 혼맥이 연결되는 지역이다. 예전에는 30여호가 살았으나, 현재는 11호 정도로 30-40여명이 산다. 월성 이씨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다. 밭농사로 서속이나 감자를 많이 심었는데, 이제는 밭농사와 논농사를 함께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일에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중성지에서 채집한 이서원네 말딸애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말순이 참여하였다. 경북지역에 많은 이선달네 맏딸애기의 일종이나 여자의 치장을 나열한 후 저승사자에게 잡혀가는 이야기로 이어지는 점이 다르다. 가창자가 친정에서 할머니로부터 배운 노래이다. 주로 삼삼을 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이서원네 맏딸애기 어 잘났다 소문났네
한 븐 가도 몬 만내고 두 븐 가도 몬 만내고 삼시 븐을 거들 가니 수영대가 마리 끝에 어화 넘차 나왔으매 발새 치장 둘러보니 외씨겉은 접버선에 니눈백이 꽃댕이네1) 발에 납쭉 담아 신고 바지치장 둘러보니 물명주야 고도바지 술술이도 누베 입고 단에치장2) 둘러보니 물명주야 단속곳을 길도명산 질러 입고 처매치장 둘러보니 싸리비단 화당처매3) 범나부야 주름 잡고 흰나부라 말을4) 달어 매고 매고 다시 매고 대단한 침 질러가 매고 저고리치장 둘러보니 니 모가지 짝짜구리 명저고름 설피 달고 복도5) 맹선 동전 시쳐 고름치장 둘러보니 은쪼롱이 놋쪼롱이 호롱조롱 달렸더라 머리치장 둘러보니 구름같이 흔탄 머리 은봉안에 머리 깜아 녹봉6) 아래 기름 발라 반달겉은 어레빗은7) 유수같이 흘려 빗겨 전반도리 넓게 따서 금박댕기 끝을 물려 우리 아베 돈 준 댕기 우리 오빠 떠온 댕기 우리 형님 접은 댕기 우리 엄마 다린 댕기 궁초댕기 끝을 물려 어화 넘차 나왔으되 우리 엄마 알았이믄 밥 한 생을 막식하지8) 밥 한 상도 내 귀찮다 어화 내기 잡아내라 우리 아빠 알았이믄 돈 닷냥을 막식하지 돈 닷냥도 내 귀찮다 어화 내기 잡아내라 (“마 죽었니더 ”) 1) 꽃댕이네 : 꽃당혜. 당혜는 신의 일종. 2) 단 : 속바지. 3) 화당처매 : 화단처매. 4) 말 : 말기. 치마 허리부분. 5) 복도 : 북동(北東). 6) 녹봉 : 장신구의 일종. 7) 어레빗 : 얼레빗. 빗살이 굵고 성긴 큰 빗. 8) 막식하지 : 저승사자에게 빌기 위하여 대접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