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대도둠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출상전야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송군 진보읍 진안리 진보경로당의 대도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상경, 김진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신상경, 후창/김진호 외 |
지역개관 | 청송군 진보읍 진안리는 내력이 깊다. 이 마을은 각성바지가 모두 모여서 산다. 논농사를 위주로 해서 살고 있다. 이 마을은 면사무소가 있는 소재지이고, 모두 1000여호가 사는 번성지역이다. 논농사로는 보리나 쌀을 경작한다. 옛날에는 각동 동제가 있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일에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진보읍) 진안리 진보경로당에서 채집한 대도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상경, 김진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부자집에서 장사를 지낼 때에 행상 나가기 전날 밤에 행상꾼들에게 술도 주고 음식도 준다. 이 때에 빈 상여를 가지고 예행연습격으로 행상놀이를 하는데, 이때에 부르는 소리를 대도둠소리라고 한다. 경상북도에서는 이 마을과 영양읍에서 대도둠소리가 채록되었다. 청송군의 다른 마을에서도 대도둠이 있었다고 하나 노래를 기억하는 사람은 없었다. 대도둠소리와 실제 상여소리의 구분은 엄격하지 않다. 이 노래는 선창자가 진보에서 배운 소리이며, 후렴은 진보경로당 노인들이 맡았다. |
가사 | 에이 이 간다 간다 나는 간데이 부데 부데 잘 있거래이
에이여 북망산이 멀다드니 대문밖이 하적일데 에이여 이후후후 아이고 아이고 우이 갈꼬 에이여 심산산곡 험한 길에 아이구 아이구 우이 갈꼬 에이여 대궐겉은 내 집을야 원앙겉이 비워 두고 북망산천 나는 간데이 에이여 아들 아들 우리 아들아 많이 많이 울어다게 에이여 내가 너를 키울 때에 업어 주고 안어 주고 고이 고이 길렀단데 에이여 배가 고퍼 울음 울 때 젖도 주고 밥도 줬데이 에이여 아이고 아이고 우이 갈꼬 북망산천 우이 갈꼬 에이여 이후후후 딸아 딸아 우리 딸아 마이 많이 울어다게 에이여 이후후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