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송군 진보읍 진안리 진보경로당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상경, 김진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선창/신상경, 후창/김진호 외 |
지역개관 | 청송군 진보읍 진안리는 내력이 깊다. 이 마을은 각성바지가 모두 모여서 산다. 논농사를 위주로 해서 살고 있다. 이 마을은 면사무소가 있는 소재지이고, 모두 1000여호가 사는 번성지역이다. 논농사로는 보리나 쌀을 경작한다. 옛날에는 각동 동제가 있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일에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진보읍) 진안리 진보경로당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상경, 김진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덜구질은 봉분 가운데 종말대를 세우고 덜구꾼이 홀수로 들어서서 한다. 덜구소리는 상주의 요청에 따라서 아홉 채(켜), 일곱 채, 다섯 채로 하는데, 그 수에 따라서 문서가 달라진다고 한다. 보통사람의 경우에는 다섯 채로 한다. |
가사 | 어허 덜구여
어허 덜구여 덜구꾼은 여덟인데 어허 덜구여 나까진 아홉이라 어허 덜구여 덜구꾼요 들어보소 어허 덜구여 먼 데 사람 듣기 좋게 어허 덜구여 젙에 사람 보기 좋게 어허 덜구여 등 맞추코 배 맞추코 어허 덜구여 가닥나기1) 하지 말고 어허 덜구여 쿵덕 쿵덕 찌여 주세 어허 덜구여 어이구 어이구 망혼이여 어허 덜구여 불쌍하고 가련하데이 어허 덜구여 백세향수 하실 줄을 어허 덜구여 태산겉이 믿었더니 어허 덜구여 육십 연기 미만하여 어허 덜구여 지하 고향 그리워서 어허 덜구여 우주 청산 무덤 될 줄 어허 덜구여 어는 누가 알았는고 어허 덜구여 아이고 아이고 망혼이여 어허 덜구여 적막공산 홀로 누워 어허 덜구여 송죽으로 울을 삼고 어허 덜구여 까막까치 벗을 삼아 어허 덜구여 적막이도 누웠으면 어허 덜구여 어느 자석 찾아오면 어허 덜구여 어느 친구 찾아올노 어허 덜구여 1) 가닥나기 : 틀리지 않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