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살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덕천의 시집살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우상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우상림 |
지역개관 |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덕천마을에는 66호 214명이 산다. 마을은 너른 들에 위치한다. 벼농사를 위주로 했으나, 현재는 참외 농사도 곁들인다. 마을에서 동제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5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덕천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우상림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밭매는 소리이면서 서사민요이다. 시집을 살 수 없어서 남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중 노릇을 나선다는 내용이다. |
가사 | 불같이라 더운 날에 미같이라1) 지슨2) 밭을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시 골을 거듭 매도 다른 점슴 다 나온데 이내 점슴 안나오네 집이라꼬 찾아가니 시어머님 하신 말씀 어지 왔던 새미늘아 아래 왔던 헌미늘아 밭이라꼬 및 골 맸노 불같이라 더운 날에 미같이라 지선밭을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시골을 거듭 맸소 어라 이년 물러쳐라 그걸사 일이라꼬 때를 찾고 낮을3) 찾나 시아버님 하신 말씀 어지 왔던 새미늘아 아리 왔던 헌미늘아 밭이라꼬 및골 맸노 불같이라 더운 날에 미같이라 지선 밭을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시골을 거듭 맸소 에라 이년 물러쳐라 그걸사 일이라꼬 때를 찾고 낮을 찾나 시동생이 하는 말이 어제 왔던 새형수요 아래 왔던 헌형수요 밭이라꼬 및골 맸소 불같이라 더운 날에 미같이라 지선밭을 한골 매구 두골 매고 삼시골을 거듭 맸소 그걸사 일이라꼬 때를 찾고 낮을 찾소 밥이라꼬 주는 것은 삼년 묵은 버리밥을 사발굽에 발라주고 장이라꼬 주는 것은 삼년 묵은 꼬랑장을 접시굽에 발라주네 숟가락은 십리 만치 던짔다가 오리 만참 주다주네4) 열두폭 처매 내서 한폭 따서 꼬깔 졌고 두폭 따서 바랑 짓고 바랑을 짊어지고 시대 삿갓 덮어씌고 재 막대기 손에 들고 질을 나서가니 서방님이 하신 말씀 가세 가세 집에 가세 못댔더라 못댔더라 너거 엄마 못댔더라 우리 엄마 못댔으마 천년 살고 만년 사나 우리 둘이 천년 살고 만년 사지 가세 가세 집에 가세 못댔더라 못됐더라 너 아버지 못댔더라 울 아버지 못댔으만 천년 살고 만년 사나 우리 둘이 천년 살고 만년 사지 못땠더라 못땠더라 너거 동상 못땠더라 우리 동생 못땠으면 천년 살고 만년 사나 우리 둘이 천년 살고 만년 사지 은가락지 찌든 손에 호미 꼭지 왠 말인고 금봉처라5) 찌든 머리 시대삿갓 왠말이고 그러구로 삼년이 지내가서 집이라꼬 찾아가니 쑥대밭이 되었구나 시어마니 미에 가니 앙살꽃이 피어있고 시아버님 미에 가니 호랑꽃이 피어있고 시동생 미에 가니 유두꽃이 피어있고 시누아씨 미에 가니 개살꽃이 피어있네 서방님 미에 가니 함박꽃이 피었구나 1) 미같이라 : 뫼(산)같이. 2) 지슨 : 우거진. 3) 낮 : 점심. 4) 주다주네 : 주워다 주네. 5) 금봉처 : 금봉채(金鳳釵). 봉황을 새긴 금비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