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꿩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덕천의 꿩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우상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우상림 |
지역개관 |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덕천마을에는 66호 214명이 산다. 마을은 너른 들에 위치한다. 벼농사를 위주로 했으나, 현재는 참외 농사도 곁들인다. 마을에서 동제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5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덕천에서 채집한 꿩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우상림이 참여하였다. 까토리가 장끼를 잃는 과정을 그린 서사민요. 꿩을 의인화해서 다룬 수법은 판소리 장끼타령과 상통한다 하겠다. |
가사 | 아들 딸 딜고 가서
딸 열둘 너는 이골 매고 아들 열둘 저골매라 불콩 하나 흘렀구나 어허 그콩 소담하다 한개 묵어 볼까 까토리가 하는 말이 그콩 묵지 마소 간밤에 꿈을 꾸니 포랑보에1) 짐을 싸서 신발 싣는 지생이요2) 어허 그콩 소담하다 한개 묵어보자 널름 집어묵고 까토리야 내 눈에 동자 하나 있나 봐라 한쪽 눈에는 동자가 파랑보에 짐을 싸고 신발 싣는 지생이요 쟁끼란 놈 죽고나니 까투리가 하는 말이 첫째 낭군 얻었더니 김포수가 잡아가고 두째 낭군 얻었더니 박포수가 잡아가고 시째 낭군 얻었더니 불콩 묵고 죽었구나 에이고 짠디머리 푸티리고 에이고 에이고 내팔자야 서산으로 날라가니 임재는3) 와서 좋다꼬 쟁끼란 놈 매가지를 땀박 끊어 바우우에 얹어 놓고 한달에 스물 아홉번쓱만 생기 줍소사 1) 포랑보 : 파란 보자기. 2) 지생 : 형국(形局). 3) 임재 : 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