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선이, 최화식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선이, 나/최화식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마을에는 각성바지로 198호 700여명이 산다. 들이 넓어서 논농사를 주로 한다. 동제를 아직도 지내고 있다. 논농사가 있기 전에 밭농사가 있었으며, 용연저수지가 생긴 뒤로 논농사를 하였다. 포항에서 가장 우수한 농요가 보전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24일에 경상북도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선이, 최화식이 참여하였다. 선창과 후창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부르는 독특한 형식의 모심는 소리이다. |
가사 | 가 : 이 논바닥에 모모를 심어 가지가 벌아도1) 장홰로세
나 : 우루야2) 부모님 산소등에 솔을 심어도 정잘레라3) 가 : 모시야 적삼아 반적삼에 분통같으나 저 젖 보소 나 : 많이야 보며는 병이 되고 담배씨 만침만 보고 가소 가 : 유월이라야 새벽달에 처녀 둘이가 도망가네 나 : 석자 수건을 목에 걸고 총각 둘이가 디 따리네 가 : 서월 가섰던 과개선부 우루야 선보님 안왔어요 나 : 오기사야 왔다마는 칠성판에 실려왔네 가 : 일산땔라가4) 누구를 주고 칠성판 우에 실려오요 나 : 쌍가매 홑가맬랑 어따 두고 칠성판에 실려왔네 가 : 서월이러야 한 사랑에 글소리두야 요란하네 1) 벌아도 : 벌어서. 2) 우루야 : 우리야. 3) 정잘레라 : 정자처럼 그늘이 깊은 것을 뜻함. 4) 일산땔라가 : 일산대(日傘-)는. 볕을 가리는 큰 양산. 감사 유수 수령들이 부임할 때 받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