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꾼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의 나무꾼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성영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성영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마을에는 각성바지로 198호 700여명이 산다. 들이 넓어서 논농사를 주로 한다. 동제를 아직도 지내고 있다. 논농사가 있기 전에 밭농사가 있었으며, 용연저수지가 생긴 뒤로 논농사를 하였다. 포항에서 가장 우수한 농요가 보전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24일에 경상북도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에서 채집한 나무꾼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성영이 참여하였다. 나무꾼이 산에 나무하러 올라 하는 신세타령. |
가사 | 어허허야 에야
목은 말라 컬컬하고 배는 고파 등에 붙고 이 내 팔자 어찌 대여 이런 꼴로 대였던고 에헤이여 산천초목 다 타나마 동남풍만 불아주소 어허야 어떤 사람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에헤이 양모에1) 핑경 달아 이히히 동남풍 불면 땡그랑 땡그랑 하네 이후후후후 8) 양모 : 양쪽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