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량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건축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의 상량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화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화식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마을에는 각성바지로 198호 700여명이 산다. 들이 넓어서 논농사를 주로 한다. 동제를 아직도 지내고 있다. 논농사가 있기 전에 밭농사가 있었으며, 용연저수지가 생긴 뒤로 논농사를 하였다. 포항에서 가장 우수한 농요가 보전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24일에 경상북도 영일군 흥해읍 북송리 북송에서 채집한 상량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화식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제보자가 원당 김씨집의 시조묘를 쓰면서 집을 지을 때에 목수들이 부르던 것을 기억해서 들려준 것이다. 기억이 탁월하고 가락이 정확해서 상량 올리는 소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다만 가창자가 이 노래를 새로이 부를 때마다 노래의 구조와 사설이 바뀌곤 했다. |
가사 | 용에 머리 테로1) 닦아
지칫돌을2) 박았구나 앞지동도3) 여덟 나4) 뒷지동도 여덟 나 이팔이 십육 열여섯 좌우야 한편 둘러놓고 대들뽀 걸어 세까리5) 걸어 양귀에 핑경 달고 대들뽀로 올려주소 올렸구나 올렸구나 대들뽀로 올렸구나 세까리 걸어 핑경 달고 양귀에 핑경소리 핑경소리도 요란하다 이집이 짓든 삼년만에 황새등새 새끼로 치고 한바리 새끼 까거들라 이천석을 점지하고 두바리 새끼 까거들라 육천석을 점지했네 이렇더라 이렇더라 이집이 가싸가6) 이렇더라 1) 테로 : 터를. 2) 지칫돌 : 주춧돌. 3) 앞지동 : 앞기둥. 4) 나 : 놓아 5) 세까래 : 서까래. 6) 가싸가 : 가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