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꾼신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일군 죽장면 입암리 솔내동의 나무꾼신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만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만희 |
지역개관 | 영일군 죽장면 입암리 솔내동은 내력이 깊은 중산간 마을이다. 마을에 입암서원이 있어 장여흥을 배향하고 있다. 마을에는 30여호로 약 90여명이 산다. 마을을 입암리라 하는 것은 마을 초입에 선바위가 있기 때문이며, 선바위 곁에는 타기암 또는 일재당이 있다. 마을 소나무가 있는 위쪽에 동제당이 있으며,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8일에 경상북도 영일군 죽장면 솔내동에서 채집한 나무꾼신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만희가 참여하였다. 처음과 끝부분을 빼고는 흔히 각설이타령에서 많이 부르는 투전뒤풀이를 담아 불렀다. |
가사 | 헤에 어혀
구여 구여 가마귀야 반공중우 높이 떠서 황혼 칠백1) 가거들랑 님의 소식 전해주소 일발삼삼 야밤중에 밤중 새별 돋이 떴고 이야 행상 큰 북소래 팔도귀신 춤을 춘다 어야 삼월 살구 삼동구리 놋촛대는 사초방에 불 밝히고 오월 난초 관운장은 장두칼 품에 품고 원수진 놈 찾아간다 육육에 연을 타고 팔도 강산 망을 보네 야 치럼 치럼 따은 머리 금초댕기 끝만 물려 동남풍을 흐날리고 우리 형제 팔형제는 한서당에 글을 배와 경주야 첫 세월에 과개하기 기다리네 구실구실 늙은 중은 백팔염줄 목에 걸고 탁목을 손에 들고 절뚝 짝지2) 둘러 쥐고 이 골목에 뚝딱 저 골목에 뚝딱 한술주소 뚝딱 두술 주소 뚝딱 장하숲에 범 들었다 일자 포수 다 모여서 그 범 한마리 잡아 놓으니 잡아 놓으니 구경꾼이요 미고 나니 초롱군이요 들고 나니 상두꾼이야 에 질로 질로 가다가 바늘 한게 주섰네 주은 바늘 남을 줄까 남 줄라니 아깝고 내 할라니 개구구나3) 변소간에 던졌네 낚수 한개 치었구나 치은 낚수 남을 주까 남줄라니 아깝고 내 할라니 개구타 압록강에 던졌네 잉어를 한마리 낚았더니 니팔도매4) 걸쳐서 장두칼로 도여서 내외부부 안저가주 히히낙낙 먹건마는 농부된 이내 팔자 어찌하여 풀지게를 아기 삼고 지게목발 등을 삼아 높은 태산 우리나라 땀짹이 물을 삼아 내 신세는 왜 이른고 헤헤이 농부된 내 팔자야 이 후후야 1) 황혼 칠백 : 저승? 2) 짝지 : 작대기. 3) 개구구나 : 아니꼽구나. 4) 니팔도매 : 네발도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