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생금 생금 생가락지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상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의 생금 생금 생가락지, 양산복과 수영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상북도편은 CD 15장, 555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113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영천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5 , 생금생금생가락지 , 양산복과수영대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경상북도 , 경북 , 영천시 , 1993 , 1995 , 생금 생금 생가락지 , 김병록 , 독창 , |
실연자 | 김병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병록 |
지역개관 | 경상북도 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은 500여년전 조선조 세종때 나주 정씨가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며 마을 주위에는 괴목이 많아 정자를 이루었다 하여 괴정리라고 하였다 한다. 또 임진왜란때 정응거 장군의 형이 부모를 위해 단신으로 왜적과 싸우다가 죽었으며, 그의 처 오천 정씨는 왜병에게 붙잡혀 가다가 말 위에서 자결하니, 이들 부부의 효와 열을 기리기 위해 마을 앞에 효열정문이 세워졌다. 이때부터 이 마을을 효자문이라고 하기도 했다.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3일에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화산면 효정리 괴정에서 채집한 생금 생금 생가락지, 양산복과 수영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병록이 참여하였다.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서사민요이다. 정조를 의심받은 여동생이 죽어서 자신을 곱게 봐 달라는 내용이다. 사설의 내용이 부녀요와 일치한다. 그러나 이번에 조사한 가창자의 대부분이 어린 시절에 동요로 불렀다고 함에 따라 전래동요편으로 분류해 2곡을 소개한다. 두 번째 곡은 두 가지 서사민요가 합쳐졌다. 뒷부분은 고소설 양산백전과 통하는 자료이다. 가창자는 이 노래를 소꿉장난하면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암기야1),우리 빵뚜깨미 살러 담 밑에 가자, 오야 ”)
생금 생금 생가락찌 호작질로 닦어내서 먼 데 보니 달일레라 자태 보니 처녈레라 그 처녀에 자는 방에 숨소리도 듣고 져라 그 처녀에 노든 방에 글소리도 듣고 재라 (“야, 니도 한번 해라, 오야 ”) 대야 대야 양산대야 한 서당에 글을 배와도 여자 남자 너 몰랐나 대야 대야 수영대야 한 서당에 글을 배와 여자 남자 왜 몰랐노 1) 암기야 : 아무게야의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