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하신의 사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순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순기 |
지역개관 |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하신에는 비자나무가 많아 비자동(榧子洞)이라 부르기도 했다. 장흥마씨(長興馬氏) 자작일촌으로 82가구가 농사를 짓고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14일에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하신에서 채집한 사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순기가 참여하였다.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칡덤풀과 풀 따위 밖에는 먹지 않는 사슴이 인간에게 하는 항변이다. 연약한 짐승들의 사정을 그들의 편에서 헤아리는 따뜻하고 섬세한 심성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런 노래에는 으레 구관사또, 신관사또의 열 두 반상이 등장하는데 사슴의 목소리에, 지방관에 의해서 침학당하던 백성들의 짓눌린 목소리가 섞여 나오는 듯하다. |
가사 | 사슴아 사슴아 노사심아1)
노사심이도 사심인가 이사심이도2) 사심이제 인간우에 핼 하든가 전답우에 핼 하든가 나 먹는거 나 갈치까3) 덤풀 덤풀 칡덤풀은 그것백이는 내 안 먹네 시금시금 씨앗동은4) 그것백이는 내 안 먹네 이내 뿔은 곱게나 빼서 모슬집5) 선부님네 칼첨사나6) 하옵소라 이내 가죽은 곱게나 벳게 모슬집 처제 각시 골미가슴이나7) 하옵소서 이내 살은 곱게나 떠서 올라가는 구관사또 내려오는 신관사또 열두반상이나도 뀌밉소사 1) 노사슴 : 늙은 사슴인 듯, 2) 이사슴 : 어린 사슴인 듯. 3) 나 갈치까 → 나 가르칠까 4) 씨앗동 : 신맛이 나는 풀로 초록대와 비슷함. 5) 모슬집 : 관청을 뜻하는 古語 마을이 바뀐 말인 듯함. 6) 칼첨사 → 칼첨자(籤子) : 칼집에 끼우는 물건으로 젓가락 모양의 쇠붙이. 이 노래에서는 칼집의 뜻으로 쓰임. 7) 골미가슴 : 골무감의 방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