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앗 죽은 편지로세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하신의 베틀노래-시앗 죽은 편지로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1114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남도 > 강진군 |
생산지역 상세 | 군동면 삼신리 하신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1 , 베틀노래 , 시앗죽은편지로세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전라남도 , 전남 , 강진군 , 1989 , 1993 , 시앗 죽은 편지로세 , 이순기 , 독창 , |
실연자 | 이순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순기 |
지역개관 |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하신에는 비자나무가 많아 비자동(榧子洞)이라 부르기도 했다. 장흥마씨(長興馬氏) 자작일촌으로 82가구가 농사를 짓고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1월 14일에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삼신리 하신에서 채집한 시앗 죽은 편지로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순기가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친정에서 듣고 배운 노래이다. 베를 짤 때 뿐 아니라 쉴참에 그냥 혼자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다른 베틀노래에 비해 베틀의 세부에 대한 사설이 간략한 대신 뒷 귀절과 연결이 특이하다. 뒷부분이 남편의 죽음으로 전개되는 것이 베틀노래의 일반적인 경우인데 비해 이 노래에서는 첩의 죽음을 기꺼워 하는 본처의 솔직한 모습이 재미있게 그려져 있다. |
가사 | 달 떠오네 달 떠오네
강호방에는 달 떠오네 강호님은 어디를 가고 저 달 뜬 지를 모른단가 빠졌다소 빠졌다소 첩으 년을 쥑이자고 때깟칼을1) 품에 품고 사흘 나흘 가는 길에 나잘 전에도2) 득달한께 지비같이도 생긴 년이 번개같이만 날아와서 나부같이도 절을 한다 여자 눈에도 이러할 제 남자 눈에는 비민하까3) (“그라고 있으니까 인자”) 큰어마니 큰어마니 이 술 한 잔 받으시고 시간 전답을4) 반분합시다 에라 요년 요망하다 가래나5) 잡어서 찢을 년아 하늘같은 가장을 준께 시간 전답도 너를 줘야 (“그라고 인자 화가 난께 베틀노래를 불러 자쳤드라네. 그래서 베틀노래가 되얐어거. 하하하…”) 베틀다리 선다리는 이형제요 빙어리는6) 사형제요 잉앳대도 이형제고 눈썹대는도 홀애비요 비재나무7) 보두집에8) 참배나무도 북에다가 하늘에다 베틀을 놓고 구름을 잡어 잉애 걸고 알그당 딸그당 짜노란께 편지 왔네 편지 왔네 어디께서 편지 왔는가 서울에서 편지 왔네 앞문으로 받어딜에 뒷문에서나 피어나 봉께 시앗 죽은 편지로세 괴기에도 쓰던 뱁이 소금에도 담도 다다 소상때나 갈랬더니 춤추니라고 내 못 갔네 (“그 노래가 있어 하하하…”) 1) 때깟칼 : 작은 칼. 2) 나잘 전: 한나절 전. 3) 비민하까 : 오죽할까. 4) 시간 → 세간. 5) 가래 → 가랑이. 6) 빙어리 → 비경이. 7) 비재나무 → 비자나무. 8) 보두집 → 바디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