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영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영엽 |
지역개관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의 관리라는 명칭은 이 곳이 조선 초기까지 옛 도양현의 현치소였고 장흥도호부의 도양목장 감독관이 있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졌다 한다. 관하마을은 하리(下里), 아랫동네라고도 하는데, 현재 42호가 살고 있다. 고흥군내에서는 비교적 들이 넓어 쌀, 보리가 많이 나고 예전에는 목화를 많이 재배했다. 마을 뒷산의 장기미재를 넘으면 보성만의 푸른 바다가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영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앞의 <긴소리>는 판소리 춘향가 중의 <긴 농부가>와 선율은 유사하나 템포가 빠르다. 모를 거의 심어 갈 무렵에는 좀 더 빠른 <잦은 소리>로 바꾼다. 얼마 안 남은 일거리를 빨리 끝낼 수 있게 사람을 재촉하고 신명을 돋구는 것이다. |
가사 | <긴소리>
어이 여이 혀이 혀로 상사뒤여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앞산은 점점 멀어를 지고 뒷산은 점점 가까워 오네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손세와 주소1) 손세와 주소 한몸 한뜻에 손세와 주소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떠들어온다 떠들어온다 점심바구리 떠들어오네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오늘날이 경사날이라 이만저만 존 날이라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장부야 장부야 졸장부야 앞문을 걸제 뒷문조차 걸었냐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나 지집 두고 남의 지집 볼라고 울장개비2) 넘어뛰다 생눈만 뺐네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어기야 더기야 닷 감는 소리 마산포 큰애기 반봇짐 싸네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물 뜨난 소리 암방에 담방 날 오란 손질은 간들간들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꼬시랑머리에 물레테 댕기 언제나 귀갖고 내 낭군이 될래 여이 여이 여이 여로 상사뒤여 <자진소리>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오란 데는 밤에나 가고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동네야 술집이 대낮에 가네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두궁놀이3) 나랑 너랑 가자고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언약에 약속을 해 놨더니만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가고야 없네 가고나 없네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정든 님 혼자 가고나 없네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어이여 여로 사 상사뒤여 1) 손 세와주소 : 손 맞춰주소. 2) 울장개비 : 울타리. 3) 두궁놀이 : (뜻 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