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양심, 장세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양심, 장세방 |
지역개관 | 보성만 가에 있는 장예마을은 바다로 길게 뻗은 여(바위)가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장여마을로 불렀었다.마을 뒤쪽 점터에 있는 논밭에서 농사를 짓는 한편, 자원이 풍부한 마을 앞 바다에서 고기잡이와 양식 사업을 해 비교적 생활이 윤택하다. 다른 농촌마을과 달리 빈집이 없고 젊은이들도 많아 활기차고 인심이 좋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양심, 장세방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을 때는 모를 찔 때 부르던 <사리랑타령>이나 <매화타령>을 가끔 부르기도 하나, 주로 이 <상사소리>를 부른다. |
가사 |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손 세와주소 소 손 세와주소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우리나 군사들 소 손세와 주소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여그도 놓고 저 저그도 놓고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엔방 없이만1) 시 심어나주소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떠 들어온다 떠 떠 들어온다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점심 바고리 떠 떠들어 온다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앞산은 점점 머 멀어나 가고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뒷산은 점점 가 가차와 온다 어이여 여어 여허로 사 상사뒤여요 1) 엔방 : 빈 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