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매화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의 모심는소리-매화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양심, 장세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양심, 장세방 |
지역개관 | 보성만 가에 있는 장예마을은 바다로 길게 뻗은 여(바위)가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장여마을로 불렀었다.마을 뒤쪽 점터에 있는 논밭에서 농사를 짓는 한편, 자원이 풍부한 마을 앞 바다에서 고기잡이와 양식 사업을 해 비교적 생활이 윤택하다. 다른 농촌마을과 달리 빈집이 없고 젊은이들도 많아 활기차고 인심이 좋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에서 채집한 매화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양심, 장세방이 참여하였다. 모찔 때, 모심을 때 두루 부르는 소리이다. 3분박 4박자의 빠른 템포로 가볍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
가사 |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어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장앞에 장전이1) 유도사집이2) 전에야 없는 에루아 초당을 지었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주시로가세 주스로 가세 순천 나 낙수3) 헤루아 삼 주스로4)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낙안 벌기5) 사초당 앞에 저 구루마 타 타는 에루아 저 잡놈아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둘 입었네 둘 입었네6) 우리야 오 오빠 에루아 앵패 배재7)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등터졌네 등터졌네 일상사8) 저 접저구리 에루아 등터졌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꽃은 껑거 머리에다 꽂고 산에야 오 올라 에루아 들귀경 가세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못 하겄네 못 하나겄네 암만 하 하여도 에루아 못 하나겄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간다 간다 나도나 간다 정든 님 따 따라서 에루아 나도나 간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어루아 에루다 매화로다 아하 헤헤용 에에헤용 헤루아 헤루아 매화로다 1) 장앞에 장전이 : 장앞, 장전(長前)은 고흥군 도덕면 신양리에 있는 마을이름. 2) 유도사 : 유씨성을 가진 도사. 3) 순천 나 낙수 : 순천 낙수. 나는 박자를 맞추기 위해 붙임. 지금의 승주군 송광면 낙수리로 전에는 순천군에 속했다. 4) 주시로~삼 주스로 : 낙수에는 삼이 흔해서 찌석삼(떨어진, 쳐진 삼)을 주으러 낙수다리 밑으로 가곤 했다. 5) 낙안벌기 → 막안 벌교 : 낙안군이 없어지기 전에는 벌교읍이 낙안군에 속했다. 6) 둘 입었네 : 저고리 위에 배자를 덧 입었다는 뜻. 7) 앵패 배재 → 양피 배자(羊皮褙子). 8) 일상사 → 길상사 : 모시의 일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