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반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반심 |
지역개관 | 한적마을은 비포장길로 한참이나 들어가 바닷가에 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이다. 마을 사람들은 마을 동남쪽 중뫼산 너머 몽랑개와 앞에 있는 죽도에서 낙지 바지막 고막 등을 채취하며, 마을 앞 논밭에서 농사도 짓는다. 이곳 사람들은 노래를 즐겨 고흥 한적농요로 민속경연대회 등에 나가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6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반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를 거의 다 심어 갈 무렵 부르는 노래이다. 3분박 4박자의 두 마디를 앞소리 뒷소리가 반복한다. 이 마을에서는 여자들이 주로 모를 심었고 못북은 거의 치치 않았다 하나 채록 당시에는 옆에 있던 남자들이 북, 장고를 치며 흥을 돋구었다. |
가사 |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나 요리한다고1) 근심을 말소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일을 하잔께 하는 수가 없네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우리가 살며는 몇 백년을 살께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죽엄에 들어서 노수가 있냐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어매 어매 이웃어매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이제래도 나 죽어지면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앞동산천에 묻지를 말고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뒷동산천에 묻지를 말고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초롱에 나무 밑에다가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묻어주소 무 묻어나 주소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초롱의 꽃이 피어 피어지면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한 봉지도2) 꺼 껑지말고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두 봉지도 꺼 껑지말고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우리야 친구가 날 찾아오믄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한 봉지만 꺼 껑어주소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여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여 여 여로 사 상사뒤여 1) 요리 한다고 : 요렇게 한다고. 여기서는 노래한다고의 뜻. 2) 봉지 : 봉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