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물지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의 풀짐나르는소리-한물지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경덕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장경덕 |
지역개관 | 보성만 가에 있는 장예마을은 바다로 길게 뻗은 여(바위)가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장여마을로 불렀었다.마을 뒤쪽 점터에 있는 논밭에서 농사를 짓는 한편, 자원이 풍부한 마을 앞 바다에서 고기잡이와 양식 사업을 해 비교적 생활이 윤택하다. 다른 농촌마을과 달리 빈집이 없고 젊은이들도 많아 활기차고 인심이 좋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9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에서 채집한 한물지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경덕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풀이 한창 자란 6,7월이면 십오육세의 총각들이 산으로 올라가 소에게 풀을 먹이고 풀을 베는 공동작업을 한다. 이 조직에는 소메기장수(대장), 외염치기, 간세등의 역원들이 있고, 엄격한 규율과 통제 아래서 일이 진행된다. 풀짐을 지고 소를 끌고 집으로 돌아 오면서 이 <한물지기>,소리를 부른다. |
가사 | 위야 허허
위야 허허 해는 지고 위야 허허 저무난 날에 위야 허허 발질 조심 위야 허허 옆도 조심 위야 허허 조심조심이 위야 허허 집이를 갑시다 위야 허허 우리나 동무 위야 허허 많든 동무 위야 허허 골골마다 위야 허허 다 갈리네 위야 허허 오늘 저녁에 위야 허허 위야 허허 위야 허허 갈리고 보며는 위야 허허 내일 아침에 위야 허허 또 만날 거네 위야 허허 위야 허허 위야 허허 짚은 디는 위야 허허 살팡 듣고1) 위야 허허 높은 디는 위야 허허 힘차게 듣어도 위야 허허 저문 날에 위야 허허 조심을 합시다 위야 허허 위야 허허 위야 허허 해는 지고 위야 허허 저문 날에 위야 허허 조심조심이 위야 허허 집이를 갑시다 위야 허허 부모도 만나고 위야 허허 처자도 만나고 위야 허허 윗임도 윗고2) 위야 허허 뻣뻣한 보리밥 위야 허허 마주 앉아서 위야 허허 달게 달게 위야 허허 먹어나봅시다 위야 허허 위야 허허 위야 허허 1) 살팡 듣고 : 살짝 딛고. 2) 윗임도 윗고 : 웃음도 웃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