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가마메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운수노동요 > 육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두원면 관덕리 예동의 가마메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태명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태명 |
지역개관 | 예동마을은 원래 옛골로 부르던 곳으로, 김녕김씨 자작 일촌으로 26가구가 오손도손 모여 산다. 마을 북쪽은 옥녀봉, 남쪽은 깃대봉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을 앞에는 예동들이 펼쳐져 있다. 쌀농사가 위주였다가 최근에는 작약, 유자 등의 특산물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9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관덕리 예동에서 채집한 가마메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태명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혼례나 신행길에 가마꾼들이 외쳤다는 소리를 되살려 보았다. 가마를 멘 네 사람 중에서 소리에 능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는다고 한다. 앞부분 사설은 신부가 탄 가마를 멜 때, 뒷부분 사설은 신랑이 탄 가마를 멜 때 부르는 내용으로 각기 상황이 다르나 이어서 불렀다. |
가사 | 여봐라 조군꾼1) (어이)
좌우난간을 조심하고 발길 조심하렷다 (어이 어허어이 어허어이 두루허 어하 허어허 두루 반달같은 신부를 온달같이 모시렸다 (어이) 어허어이 어허어이 두루허 어하 허어허 두루 질잽이허고 어릿어릿 헌 거이 오면 발질로 차렷다2) (어이) 어허어이 두루 어하 어허 두루 앞산은 가직어 오고 뒷산은 멀어지는구나 (어이) 어허어하 어허 두루허 하 해는 지고 달이 뜨누나 조군꾼 빨리 가자 (어이) 어허어하 어허 두루허 하 1) 조군꾼 → 교군(轎軍). 2) 질잽이허고~차렷다 ; 혼례를 치르기 위해 신랑의 가마가 신부의 마을로 들어가면 그 마을에서 나온 길잡이나 청년들이 가마를 막고 장난을 치게 되는데 이런 장난을 막아내자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