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맷돌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의 맷돌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영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영엽 |
지역개관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의 관리라는 명칭은 이 곳이 조선 초기까지 옛 도양현의 현치소였고 장흥도호부의 도양목장 감독관이 있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졌다 한다. 관하마을은 하리(下里), 아랫동네라고도 하는데, 현재 42호가 살고 있다. 고흥군내에서는 비교적 들이 넓어 쌀, 보리가 많이 나고 예전에는 목화를 많이 재배했다. 마을 뒷산의 장기미재를 넘으면 보성만의 푸른 바다가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에서 채집한 맷돌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영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영엽씨는 아홉 살 때부터 맷돌질을 했는데 열두살 무렵에는 어머니가 부르는 노래를 듣고 배워 혼자 맷돌질을 하면서 흥얼거리곤 했다. 곡조는 신세타령과 같으며 사설이 맷돌질을 소재로 한 것이 다를 뿐이다. |
가사 | 맷돌아 맷돌아 밀 간 맷돌
마리1) 가운데 맞체 놓고 도리방석2) 채 감시로3) 어매 어매 어디 가서 울어매는 들 밖에서 점심때나 오실 거인디 이 맷돌은 맥헸는가 가렸는가 밀가리를 안 내노네 어매 어매 우리 어매 울아부지 오시거든 나무란4) 소리를 하지 마라고 울아부지 입 가려 주소 딸 하나를 이해 못하여 근심 걱정 앙체놓고5) 들 밖으로 왜 못 나가게 날 잡어 논가 어매 어매 우리 어매 밀개떡을 쩌여 놓고 점심실 때 도얐는데 울어머니 안 오시고 울아버지 안 오시네 1)마리: 마루. 2)도리방석: 맷돌 밑에 까는 짚방석. 3)채 감시로: 채 가면서. 밀가루가 방석 밖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방석귀를 챈다. 4)나무란: (잘못을) 나무라는. 5)앙체놓고: 앉혀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