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강술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덕면 용정리 장예의 강강술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상금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상금 |
지역개관 | 보성만 가에 있는 장예마을은 바다로 길게 뻗은 여(바위)가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장여마을로 불렀었다.마을 뒤쪽 점터에 있는 논밭에서 농사를 짓는 한편, 자원이 풍부한 마을 앞 바다에서 고기잡이와 양식 사업을 해 비교적 생활이 윤택하다. 다른 농촌마을과 달리 빈집이 없고 젊은이들도 많아 활기차고 인심이 좋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에서 채집한 강강술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상금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설이나 정월 대보름 또는 추석 때 부녀자들이 마당에서 강강술래 놀이를 하며 부르던 노래이다. <긴소리>로 시작해서 <잦은소리>로 점점 빨라지며, 이 노래 뒤에 <덕석몰이>, <고사리꺾기>, <기와밟기>등 많은 놀이노래들이 뒤따른다. 잦은소리와 후렴을 “강갱이나 수월래”로 부르는 것이 흥미롭다. |
가사 | 강강강 수월래
강강강 수월래 앞으로 보면 청산이요 강강강 수월래 뒤로 보면 녹수로다 강강강 수월래 녹수청강1) 흐르난 물에 강강강 수월래 빨래하는 저 처녀야 강강강 수월래 금을 주리 옥을 주리 강강강 수월래 저야 들이 만나갖고 강강강 수월래 해뜨드록 잠을 자니 강강강 수월래 해 떴다고 깨울소냐 강강강 수월래 열두가지 분바르고 강강강 수월래 열두가지 연지야 찍고 강강강 수월래 마주 앉아서 밥을 먹네 강강강 수월래 시어머니 간장이 다 녹아난다 강강강 수월래 강강강 수월래 강강강 수월래 <잦은소리>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나주땅에 나박녜는 강갱이나 수월래 크 때부터2) 원하기를 강갱이나 수월래 서당에 선배를 원했더니 강갱이나 수월래 도얐구나 도얐구나 강갱이나 수월래 말에 마침 도였구나 강갱이나 수월래 찌르기 싫은 금비녜에 강갱이나 수월래 타기 싫은 쌍가매에 강갱이나 수월래 넘기 싫은 서울 고개 강갱이나 수월래 간다 간다 나는 간다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전라감사 몯 딸아기3) 강갱이나 수월래 다 좋다고 명났길래 강갱이나 수월래 한양철로4) 구경간께 강갱이나 수월래 없다고 기씨더니 강갱이나 수월래 이틀아측 거듭 간께 강갱이나 수월래 샘에 갔다고 기씨더니5) 강갱이나 수월래 삼지번을 거듭 간께 강갱이나 수월래 용대로6) 틀은 머리 강갱이나 수월래 일상같이7) 흘려빗고 강갱이나 수월래 앞비녜는 공비녜요8) 강갱이나 수월래 뒷비녜는 금당초라9) 강갱이나 수월래 구름같은 합당치마10) 강갱이나 수월래 말만 잡어 털어 입고 강갱이나 수월래 새빌 낭창11) 꽃저구리 강갱이나 수월래 짓만 잡아 털어 입고 강갱이나 수월래 외씨같은 삼사보신12) 강갱이나 수월래 흐냥13) 볼걸어 졸라신고 강갱이나 수월래 구름같은 까찐에다14) 강갱이나 수월래 아리잘잘 끌고가니 강갱이나 수월래 저기 가는 저 아줌마 강갱이나 수월래 뒷만 살큼 돌아다보소 강갱이나 수월래 에라 요놈 요망하다 강갱이나 수월래 인물이 좋아서 돌애다 보랬제 강갱이나 수월래 태두가15) 좋아서 돌애다 보랬제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다 되었네 다 되였네 강갱이나 수월래 그만에저만에 다 되였네 강갱이나 수월래 북도칠성이 횡 돌아졌네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강갱이나 수월래 1) 녹수청강(綠水淸江). 2) 크 때부터 → 클 때부터. 3) 몯딸아기 → 맏딸아기. 4) 한양천로 → 한양천리. 5) 기씨더니 : 속이더니. 6) 용대로 : 용같이, 용 모양으로. 7) 일상같이 : 보기좋게. 8) 공비녜 → 공비녀 : 한쪽끝이 공모양으로 생긴 비녀. 9) 금당초 : 머리에 꽂는, 금으로 만든 장식. 10) 합당 → 합단 : 비단의 일종. 11) 새빌 낭창 : 새빌은 샛별. 예쁘다는 뜻. 12) 삼사보신 → 삼승(三升)버선 : 몽고에서 나는 무명의 한 가지인 삼승으로 지은 버선. 13) 흐냥 : 하얀. 14) 까찐 → 갖신 : 가죽신. 15) 태두 → 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