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화전놀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화전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의 화전놀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영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영엽 |
지역개관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의 관리라는 명칭은 이 곳이 조선 초기까지 옛 도양현의 현치소였고 장흥도호부의 도양목장 감독관이 있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졌다 한다. 관하마을은 하리(下里), 아랫동네라고도 하는데, 현재 42호가 살고 있다. 고흥군내에서는 비교적 들이 넓어 쌀, 보리가 많이 나고 예전에는 목화를 많이 재배했다. 마을 뒷산의 장기미재를 넘으면 보성만의 푸른 바다가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에서 채집한 화전놀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영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부녀자들이 꽃피는 봄에 날을 잡아 화전놀이를 할 때에 부르던 노래이다. |
가사 |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멩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가세 가세 화전놀이를 가세 산천들판으로 화전놀이를 가세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가면 가고 말며는 말제 마상에 없이 내가 시집을 갈랴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달놓고 별놓고 낭창한 낭자1) 경찰소 서기간장을 아이고야 다 녹인구나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화전놀이 젊어도 내 친구 늙어도 내 친구야 합심하여서 놀세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청천에 하날에 잔별도 많고 요내야 가슴속에는 아이고야 수심도 많네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십오야 밝은달 구 구름속에 놀고 이십안짝 새 큰아기는 내 품안에서 논다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화전놀이 들가에서 놀면 들사람 다 귀공해서2) 아이고야 내 신명 더 난다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오란디는 바 밤에나 가고 동네야 술집이는 아이고야 대낮에 간다 제화 좋소 제 제화 좀도 좋소 맹년 춘삼월로 화전놀이를 가세 1) 낭창한 낭자 : 느슨하게 지은 쪽. 2) 귀공해서 : 구경해서. |
유형구분 | 시대구분 | 자료명 |
---|---|---|
기관아카이브 | 2021 | 아리수의 화전놀이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