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의 메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현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현님 |
지역개관 | 한적마을은 비포장길로 한참이나 들어가 바닷가에 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이다. 마을 사람들은 마을 동남쪽 중뫼산 너머 몽랑개와 앞에 있는 죽도에서 낙지 바지막 고막 등을 채취하며, 마을 앞 논밭에서 농사도 짓는다. 이곳 사람들은 노래를 즐겨 고흥 한적농요로 민속경연대회 등에 나가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6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용동리 한적에서 채집한 메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현님이 참여하였다. 메밀일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메밀의 모양과 일의 과정을 이렇게 섬세하게 묘사하기 어려울 듯하다. 일의 과정을 나열하는 노래 중에는 특히 메밀에 대한 노래가 많다. |
가사 | 저 건네라 삐딱밭에1)
메물 서되 심었더니 대는 대는 붉은 대요 잎은 잎은 떡잎이요2) 꽃은 꽃은 흔꽃이요3) 열매 열매 검은 열매 꼬부랑 낫으로 비여다가 마당 가운데 잠을 재와 도리깨로 뺨을 맞춰 챙이에다4) 황을 기레5) 맷돌에다 손을 둘러 온가 봐라 내다봐라 서울 갔던 느그 오라베 메물탕수나6) 지어주자 1) 삐딱밭 : 비탈에 있는 밭. 2) 떡잎 : 넓은 잎. 3) 흔꽃 : 흰 꽃. 4) 챙이 : 키의 방언. 5) 황을 기레 : 까불러서라는 뜻. 6) 메물탕수 : 메밀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