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의 무덤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경덕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장경덕 |
지역개관 | 보성만 가에 있는 장예마을은 바다로 길게 뻗은 여(바위)가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장여마을로 불렀었다.마을 뒤쪽 점터에 있는 논밭에서 농사를 짓는 한편, 자원이 풍부한 마을 앞 바다에서 고기잡이와 양식 사업을 해 비교적 생활이 윤택하다. 다른 농촌마을과 달리 빈집이 없고 젊은이들도 많아 활기차고 인심이 좋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9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장예에서 채집한 무덤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경덕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봉분 지을 흙을 퍼 올리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그밖에 집을 짓거나 하는 여러 가지 토역 작업을 할 때에도 이 노래를 부른다. |
가사 | 에이 아허 어허허
에이 아허 어허허 이 흙을 어서 파서 해는 일락서산에 떨어 지고 속히 조뫼하고1) 가세 에이 아허 어허허 열두 당군들2) 다 어디 갔는가 중은 서이래도 절은 짓고야 말었다네 에이 아허 어허허 이산 저산 줄행을3) 봐도 이산 맹지는4) 여기로고나 에이 아허 어허허 남산 봉학이 죽신을5) 물고 오동속으로 넘나드네 에이 아허 어허허 우리 동무 많드난 동무 골골마도6) 다 가렸네 에이 아허 어허허 여보시오 역군7) 복인8) 다 들어오세서 해는 일락서산에 떨어진디 속히 조뫼하고 가세 에이 아허 어허허 1) 조뫼 → 조묘(造墓). 2) 당군 : 상여꾼. 3) 줄행 → 주룡(主龍) : 마을터, 집터, 묏자리 등의 운수 기운이 배어 있는 산인 주산(主山)의 줄기. 4) 멩지 → 명지(名地). 5) 죽신 → 죽실(竹實). 6) 골골마도 → 골골마다. 7) 역군(役軍) : 공사터에서 삯일을 하는 사람. 여기서는 상여꾼 외에 장례일을 하는 사람. 8) 복인(服人) : 1년 이하의 상복을 입는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