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흥군 두원면 관덕리 예동의 무덤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태명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태명 |
지역개관 | 예동마을은 원래 옛골로 부르던 곳으로, 김녕김씨 자작 일촌으로 26가구가 오손도손 모여 산다. 마을 북쪽은 옥녀봉, 남쪽은 깃대봉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을 앞에는 예동들이 펼쳐져 있다. 쌀농사가 위주였다가 최근에는 작약, 유자 등의 특산물도 재배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관덕리 예동에서 채집한 무덤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태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가래질은 같은 도구로 여러 가지 일을 하기 때문에 그 기능이 다양하다. 분묘를 만들 때에도 가래질을 하게 마련인데, 이 때 부르는 가래소리는 지역에 따라 변화가 많다. |
가사 | 오 오헤 가래오
오 오헤 가래 어허 가래소리 잘도나 한다 오 오헤 가래 앞산도 첩첩하고 뒷산도 첩첩한데 혼은 어디로 행하셨는고 오 오헤 가래 이 가래가 누 가래냐 기씨 망재 가래로다 오 오헤 가래 오날 가면 언제 올라 동방화절춘풍시어1) 꽃 피거든 오실라오 오 오헤 가래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복이 노든 달아 오 오헤 가래 어허 저기저기 저 달속에 계수나무 박혔으니 옥도끼로 찍어내고 금도끼로 다듬어서 초가삼간 집 지어놓고 삼년세모2) 나는 지킬란다 오 오헤 가래 1) 동방화절춘풍시어 → 동방화절춘풍시(東方花節春風時)에. 2) 삼년세모 → 삼년시묘(三年侍墓) : 부모의 무덤 옆에 막을 짓고 삼년동안 지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