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늦은방개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의 논매는소리-늦은방개타령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수성, 김종석, 서상원, 노일원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황수성, 김종석, 뒤/서상원, 노일원 |
지역개관 | 원등리 학동마을은 삼기면 소재지이다. 섬진강 상류인 삼기천과 함께 호남고속도로가 마을 앞을 지나간다. 53호로서 예전에는 길쌈이 마을 주 수입원이었는데, 지금은 서너집만이 베를 짜고 있을 뿐,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산다. 마을 사람들은 노래를 즐겨 농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나간 적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에서 채집한 늦은방개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수성, 김종석, 서상원, 노일원이 참여하였다. 한벌, 군벌, 만드리 때 부른다. 소리꾼들이 두 패로 나뉘어 한 절씩 번갈아 부르는 교환창(交換唱)이다. |
가사 | 가 : 오동동초야 달은 밝 밝고
임의 생각 절로나 나네 나 : 성제나 성제 몰을 타 타고 성제고개 넘어를 가네 가 : 불 떨어졌네 불 떨어져 졌네 장포밭에(남향초당) 불 떨어졌네 나 : 비 묻어오네 비 묻어오 오네 곡성산천 비 묻어 오네 가 :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이 허네 우리 농군 잘도나 허네 나 : 못다나 맬 밭 다 매고나 난께 에헤 골목골목 연기만 나네 가 : 애들 쓰네 애들 쓰네 우리 농군 애들 씨네 나 : 잔 삼대는1) 씨러를 지고 골골 삼대 춤을 추네 가 : 그만저만 파양궁 허 허세 북두칠성 행돌아지네 나 : 다 되야가네 다 되야 가 가네 요 논배미 다 되야가네 1) 골골삼대 : 굵은 삼대를 잘못 부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