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설움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의 논매는소리-설움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수성, 김종석, 서상원, 노일원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황수성, 김종석, 뒤/서상원, 노일원 |
지역개관 | 원등리 학동마을은 삼기면 소재지이다. 섬진강 상류인 삼기천과 함께 호남고속도로가 마을 앞을 지나간다. 53호로서 예전에는 길쌈이 마을 주 수입원이었는데, 지금은 서너집만이 베를 짜고 있을 뿐,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산다. 마을 사람들은 노래를 즐겨 농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나간 적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에서 채집한 설움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수성, 김종석, 서상원, 노일원이 참여하였다. <설움타령>은 <방개타령>처럼 전북 일대에 널리 분포된 논매는 소리이다. 이 마을의 <설움타령>은 <늦은방개타령 1>과 마찬가지로 교환창이다. 가창자들은 이 노래가 농사짓느라 힘들고 답답한 심경을 그린 것이라 설명한다. 한벌, 군벌 때 <늦은 방개타령 1>다음에 부른다. |
가사 | 가: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허네
우리 농군 잘도나 허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나: 잉어가 노네 잉어가 노네 장포밭에1) 잉어가 노네 아이고 답답설움이야 가: 나 돌아가네 나 돌아가네 임을 따라 나 돌아가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나: 애두나 쓰네 애두나 쓰네 우리 농군 애도나 쓰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가: 저 산 너메 소 첩을 두고 밤질 걸기 난감허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나: 남문을 열고 파래를2) 치니 계명산천3) 밝아를 온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가: 그만 저만 파양궁 허세 북두칠성 행돌아진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나: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 우리 농군들 잘도나 허네 아이고 답답 설움이야 1) 장포 : 창포와 같음. 못가나 습한 땅에 절로 나는 여러해살이 풀. 2) 파래 → 파루(罷漏) : 도성 안에서 야간통행을 금지했다가 새벽 네시경 금지를 푼다는 신호로 큰 북을 치는 일. 3) 계명산천(鷄鳴山川) : 닭이 울어 날이 밝아올 무렵의 산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