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아지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의 농사장원례소리-산아지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수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황수성 |
지역개관 | 원등리 학동마을은 삼기면 소재지이다. 섬진강 상류인 삼기천과 함께 호남고속도로가 마을 앞을 지나간다. 53호로서 예전에는 길쌈이 마을 주 수입원이었는데, 지금은 서너집만이 베를 짜고 있을 뿐,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산다. 마을 사람들은 노래를 즐겨 농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나간 적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에서 채집한 산아지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수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산타령>이라고도 한다. 이 노래는 마지막 논매기인 만드리가 끝난 뒤 풍장굿을 벌이면서 마을로 돌아올 때 부른다. 풍장굿은 농번기가 끝난 것을 자축하는 놀이로,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굿을 치고 노래를 하며 마을로 행진을 한 뒤 주연을 벌인다. 이 <산아지타령>을 고흥에서는 <삼줄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논을 맬 때나 다른 놀이를 할 때에도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허 허허허이헤야
허어디여 산아지로고나 허 에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잘도나 허네 잘도나 허네 우리 농군들 잘도 허네 허 헤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저 달은 뚝 떠서 대장이 되고 견우직녀 후분이로고나1) 허 에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저 산 너머다가 소첩을 두고 밤길 걷기도 활발허네 허 에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늙고 병들면 나는 못 노나니 허 에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의 동정 달 돋아온다 허 에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그만저만 파양궁 허세 북두나 칠성이 행 돌아졌네 허 에허허이헤야 에허디여 산아지로고나 1) 후분 → 후군(後軍) : 뒤에 있는 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