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황수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황수성 |
지역개관 | 원등리 학동마을은 삼기면 소재지이다. 섬진강 상류인 삼기천과 함께 호남고속도로가 마을 앞을 지나간다. 53호로서 예전에는 길쌈이 마을 주 수입원이었는데, 지금은 서너집만이 베를 짜고 있을 뿐,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산다. 마을 사람들은 노래를 즐겨 농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나간 적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학동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황수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 상여소리에는 상여를 들고 일어날 때 부르는 <오장소리>, 상여를 메고 출발해서 천천히 걸을 때 부르는 <관아소리>, <어이가리소리>, 바삐 걸음을 재촉하며 부르는 <오호소리>, <너화넘자소리>, 언덕 올라갈 때, 좁은다리 건널 때 부르는 <너화 너화 너화널 소리>가 있다. 한편 30여년 전까지는 <달구질소리>도 있었으나 묘 위를 달구질하면서 노래부르는 것이 보기좋지 않다하여 차츰 사라졌다고 한다. |
가사 | 에헤이 에헤이 어허허허 이야 나먼보살
에헤이 에헤이 에헤 허이 나먼 보살 에헤이 에헤이 어허허허 이야 나먼보살 에헤이 에헤이 에헤 허이 나먼 보살 에헤이 에헤이 어허허허 이야 나먼보살 에헤이 에헤이 에헤 허이 나먼 보살 에헤이 에헤이 어허허허 이야 나먼보살 에헤이 에헤이 에헤 허이 나먼 보살 (후렴) 관암보이야 관암보살 관암보이야 관암보살 앞산도 첩첩하고 뒷산도 캄캄한데 혼은 어디로 가셨네 그려 쉽게 가시려거든 당초 이 세상을 나오시지를 말제 황천길이 멀고도 멀다더니 지체없이도1) 잘 가셨소 (후렴) 오호 호호 오호 호호 나무아미타불 오호 호호 오호 호호 나무아미타불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건네 안산이 북망일레 나는 가네 나는 가네 북만으 산천으로 나는 가네 가세 가세 어서 가세 일석지집을2) 어서 가세 (후렴) 허허 허허이 어리가리 허화널 허널 허화널 허허 허허이 어리가리 허화널 허널 허화널 애들 쓰네 애들 쓰네 우리 유대군들3) 애덜 쓰네 조심들 허세 조심들 허세 우리 형제군들 조심들 허세 가세 가세 워서를 가세 날만 따라서 걸어를 오소 (후렴) 너화 너화 너화널 너화 너화 너화널 어리가리넘차 너화널 조심들 허세 조심들 허세 유대 형제군4)들 조심들 허세 너화 너화 너화널 관암 보이 관암보살 관암 보이 나먼 보살 1) 지체(遲滯)없이. 2) 일석지집 → 일석지지 : 망인이 들어갈 땅. 3) 유대(留待)군 : 포도청에 딸려 상여를 메던 인부를 가리키나 점차 상여를 메는 사람 일반을 뜻하는 말로 됨. 4) 형제군 : 상여 메는 사람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