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계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계선 |
지역개관 | 영광~나주간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는 봉학마을은 마을 뒷산인 병풍산에 세 마리의 학이 날아들었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총 가구 45호에 박씨 서씨 최씨 등이 많이 거주하며, 마을 앞에 넓게 자리잡은 느릿개들에서 전통적으로 농사를 지어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3일에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학동(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계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지역의 전형적인 모심은 소리인 잦은 상사소리이다. 곡조와 사설 모두가 전남지역 모심는 소리의 표준이 될 만하다. |
가사 |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어기야 더기야 닻감는 소리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마산포 처녀가 봇짐을 싸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산아 산아 수양산아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백이 숙제가 주리던 산아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장하도다 백이 숙제님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두 임군을 안 섬기려고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수양산에서 굶어죽었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그렇숭 저렁숭 다 되어가네 에 에헤에루 상사뒤요 1) 연담 → 엔담 : 사방으로 빙 둘러쌓은 담. 2) 금년화초 : 한해살이풀. 3) 사상결단 → 사생결단(死生決斷). 4) 수야모야(誰也某也) : 아무아무, 누구누구. 5) 춘풍낙엽 → 추풍낙엽(秋風落葉). 6) 강남 경포대 → 강릉 경포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