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문열개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의 논매는소리-문열개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계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계선 |
지역개관 | 영광~나주간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는 봉학마을은 마을 뒷산인 병풍산에 세 마리의 학이 날아들었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총 가구 45호에 박씨 서씨 최씨 등이 많이 거주하며, 마을 앞에 넓게 자리잡은 느릿개들에서 전통적으로 농사를 지어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8일에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학동(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에서 채집한 문열개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계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초벌, 한벌, 만드리, 군벌 네 차례에 걸쳐 김매기를 했는데, 논매는 소리는 항상 <문열가>로 시작하게 마련이었다. 특히 호미로 땅을 파엎는 가장 힘들고 고된 작업인 초벌 때에는 사람들이 그 고단함을 잊기 위해 이 노래를 가장 많이 불렀다 한다. 자유리듬의 느리고 유장한 <문열가>가 지난 다음 <세화자소리>가 이어진다. |
가사 | 오늘도야 어허야 심심허고 요뇨허고1) 적막한 날에 (어 그렇체) 아허이 노랫장썩이나 불러보세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사래도 어허야 어허 어허야 사래도 질고 장찬 밭에2) 목화따는 저 처녀여 (어 그렇체) 아허이 목활랑은 내 때줄게 내 품에 잠들어라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녹음방초는 어허야 어허어 어히여이 녹음방초는 연년이 오건만 우리네 세월을 가기만 하네그려 (어 그렇체) 아허이 우리 세월은 영영 가네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청춘 소년은 어허야 어허이 어히여이 젊은 청춘아 니 자랑을 마라 그려 (어 그렇체) 아허이 청춘백발이 덧없는 세월에 백발이 오네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저 논에 어허야 어허이 어히여이 저 논에 비가 오니 나의 할 일이 바쁘구나 (어 그렇체) 아허이 약밭은 내 며리니와 꽃모종은 누가 허리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친구는 어허야 어허이 어히여이 친구는 남이련마는 어이 그리 유정한가 (어 그렇체) 아허이 아니 보면 안부요 만나면 정담이레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저 너메 어허야 어허어 어히여이 막잽이3) 할멈 자네 딸 잘 뒀다고 자랑을 말소그려 (어 그렇체) 아허이 하랫저녁을 다리고 자니 한 가랭이는 똥사고 한 가랭이는 오줌을 쌌네그려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나주영산 어허야 어허이 어히여이 나주영산 도내기 새암에4) 상추 씻는 저 처녀여 (어 그렇체) 아허이 상출랑은 활활 씻쳐 입은5) 니가 먹고 죽지는6) 나를 주소 올랑 아리씨구나 오 마뒤요 1) 요뇨허고 → 요요하고(蓼蓼-) : 괴괴하고, 쓸쓸하고. 2) 장찬 밭(長-밭) : 곧고 긴 밭. 3) 막잽 → 막집 : 오두막집. 4) 도내기새암 : 나주 영산포역 부근에 있는 샘. 5) 입은 : 잎은은 방언. 6) 죽지 : 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