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가롱 저롱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의 농사장원레소리-가롱 저롱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계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계선 |
지역개관 | 영광~나주간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는 봉학마을은 마을 뒷산인 병풍산에 세 마리의 학이 날아들었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총 가구 45호에 박씨 서씨 최씨 등이 많이 거주하며, 마을 앞에 넓게 자리잡은 느릿개들에서 전통적으로 농사를 지어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3일에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학동(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에서 채집한 가롱 저롱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계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가 끝나고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풍장을 치고 돌아오면서 하는 노래로, <소탄노래>라고도 한다. 앞의 <사거리>뒤에 이어서 부른다. |
가사 | 가롱 저롱
가롱 저롱 가세 가세 집으로 가세 가롱 저롱 오늘 일과도 다 되았구나 가롱 저롱 그것도 생기니 노래로구나 가롱 저롱 큰 일꾼은 소를 타고 가롱 저롱 적은 일꾼은 가래를 타고 가롱 저롱 김생원댁으로 들어를 가네 가롱 저롱 잘도나 허네 다 잘도 허네 가롱 저롱 잘도나 했으니 닭을 잡소 가롱 저롱 놀고나 가세 놀고나 가세 가롱 저롱 잔치가 벌어져서 놀고나 가세 가롱 저롱 녹음방초는1) 연년이 오고 가롱 저롱 인간 청춘은 가기만 허네 가롱 저롱 세월아 세월아 가지를 마라 가롱 저롱 아까운 청춘이 다 늙어간다 가롱 저롱 1) 녹음방초(綠陰芳草) : 나뭇잎이 푸르게 우거진 그늘과 향기롭고 꽃다운 풀. 여름철의 자연경치를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