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가마메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치병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의 가마메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병훈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병훈 |
지역개관 | 칠석(漆石)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에 검은돌(옻돌)이 많은 곳이라 하며 붙혀진 이름이다. 마을 앞에 천년이 넘었다는 은행나무와 부용정(芙蓉亭), 무송정(撫松亭)등의 오래된 정자가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역사를 지닌 마을임을 알 수 있다. 총 87호가 거주하며, 민속자료로 당산목인 소나무(일명 할아버지나무)와 무형문화재 33호인 고싸움놀이가 전해오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2일에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에서 채집한 가마메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병훈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혼례식 때 가마를 메고 가면서 하는 소리이다. 조사 당시에는 주장맥이라는 민간 의례의 일부로 녹음된 것이다. 주장맥이란 혼사를 치르는 집이나 상가집에 갔던 사람이 이유없이 몸이 굳어 버리는 병에 걸렸을 때 이르르 치료하는 주술적 의례이다. <가마 메는 소리>는 이 의례의 끝에 나오는 소리이며, “병(病)을 시집 보내 버리기 위해 부른다”고 한다. 노래라기 보다는 외침에 가까워 음고(pitch)가 일정하지 않다. |
가사 |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일락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동정에 해 솟아온다1)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아버님전 빼를 타고 어머님전 살을 타서 오늘날 장가를 가는구나 어허어 어허어 이리 봐라 저리 봐라 앞발에 해치를 봐라2)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시내가 강변 저 종질새는3) 천장만장 구만장질 떴구나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우리딸 낭자는 뎀브라 낭잔데4) 낭자만 보아도 사우가 줄줄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거그 가는 행차는 어디로 가는 행차냐고 여쭤라 어허어 어허어 어허어 이 행차를 보다시피 검은 칠을 칠히고 가는디5) 너희들 앞을 보면은 알고 있지 않냐고 여쭈어라 어허어 어허어 1) 해 솟아온다 : 달 솟아온다를 잘못 부름. 2) 해치를 봐라 : (뜻모름). 3) 종질새 : 종달새. 4) 뎀브라낭자 : 뎀브라는 튀김의 포르투칼어이고 낭자는 쪽인데 땋아서 쪽지 모습이 옛날 튀김과 비슷해서 나온 사설임. 5) 이 행차를~칠하고 가는디 : 혼례를 치르러 가는 신랑의 행차 앞에 나무 기러기를 들고가는 사람은 얼굴에 검 은 칠을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