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줄메고다니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줄다리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의 줄메고다니는소리-지화자헤헤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0221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광주광역시 > 남구 |
생산지역 상세 | (구 광주직할시) 남구 칠석동(구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줄메고다니는소리 , 지화자헤헤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줄다리기 , 광주광역시 , 남구 , 1990 , 1993 , 줄메고다니는소리 , 정남진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정남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남진 |
지역개관 | 칠석(漆石)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에 검은돌(옻돌)이 많은 곳이라 하며 붙혀진 이름이다. 마을 앞에 천년이 넘었다는 은행나무와 부용정(芙蓉亭), 무송정(撫松亭)등의 오래된 정자가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역사를 지닌 마을임을 알 수 있다. 총 87호가 거주하며, 민속자료로 당산목인 소나무(일명 할아버지나무)와 무형문화재 33호인 고싸움놀이가 전해오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1일에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에서 채집한 지화자헤헤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남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웃마을 아랫마을 사람들이 큰 줄을 꼬아 고싸움놀이를 했다. 상대편의 코(고 머리)가 다른 한쪽의 코를 누르면 이기는데, 할아버지 당이 있는 상촌이 이기면 흉년이 들고, 할머니당이 있는 하촌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고싸움을 할 때 부르는 노래로는 고를 메고 가면서 하는 <지화자 소리>, <사뒤여소리>, 양쪽 편이 맞닥뜨리기 전에 힘을 돋구는 <영차소리>, 자기 마을로 돌아오면서 부르는 <승전가>라는 노래가 있다. |
가사 | 지화자 헤 에헤
기화자 헤 에헤 오동초야 기화자 헤 에헤 달은 밝고 기화자 헤 에헤 임의 생각 기화자 헤 에헤 절로난다 기화자 헤 에헤 꽃과 같이 기화자 헤 에헤 고운 임을 기화자 헤 에헤 가지같이 기화자 헤 에헤 만든1) 정을 기화자 헤 에헤 뿌리같이 기화자 헤 에헤 깊었건만 기화자 헤 에헤 열매같이 기화자 헤 에헤 만든 정을 기화자 헤 에헤 1) 만든 → 만단(萬端) : 무수히 많은 여러 갈래나 토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