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병훈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병훈 |
지역개관 | 칠석(漆石)이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에 검은돌(옻돌)이 많은 곳이라 하며 붙혀진 이름이다. 마을 앞에 천년이 넘었다는 은행나무와 부용정(芙蓉亭), 무송정(撫松亭)등의 오래된 정자가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역사를 지닌 마을임을 알 수 있다. 총 87호가 거주하며, 민속자료로 당산목인 소나무(일명 할아버지나무)와 무형문화재 33호인 고싸움놀이가 전해오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1일에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면 칠석리) 하칠석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병훈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장터에서 주로 불러서 장타령이라고 하는 이 노래는 각설이패가 즐겨부른다 하여 각설이타령이라고도 한다. 제보자 김병훈시의 장타령에는 <투전풀이>, <십자풀이>, <천자풀이>가 있다. |
가사 | 어허 왔소 둘이요
안녕하세요 주인님 보아라 귀동자 면상을 보아도나 눈 달리고나 귀 달려 안 달린 곳은 없어나도 우리나 부모는 나를 낳어 공자나 맹자나 다 읽어 배울 것이 없어서 십자풀이를 나왔소 조선이라 십삼도 이렇게나 인심이 좋아서 우리나 같으네 인생도 살게나 되었으니 한닢 한푼을 보태나 주면 주인님 말씀을 할 것이요 일자나 한 장을 들고봐 일월일 송송해 야송송1) 밤중의 새별이 완연해 두배자나 한장을 들고나 보니 이 동산에 북을 치고 향수나 기생이 오라는데 어떤에 한량이 아니 갈까 삼자나 한 장을 들고나 봐 삼한에 신령에 두 신령 외나무다리 가 만나도 천난국으로2) 만났네 새자나3) 한 장을 들고나 보니 사십에 형차나4) 바쁜질 정학참도 여기로다 육방관토에 음루할 적5) 부모님의 생각이 절로난다 오자나 한 장을 들고봐 외곽 청춘에 관운장에6) 백토나 마를 둘러타고 공자님 선생님을 찾어간다 육자나 한장을 들고 보니 유월이라 목단꽃 지멋에 피었는데 나비나 한쌍이 날아든다 칠자나 한장을 들고봐 칠년의 대한에 봄가뭄 비 한방울이 떨어지니 세상 사람이 춤을 춘다 팔자나 한 장을 들고봐 팔십에 생산에 운봉진 팔형제를 거나리고 육날메털7) 내려오다가 사돈의 집에를 들렀네 기자나8) 한장을 들고나보니 귀엽산중에 늙은 중 염불 공부에 힘쓴다 남었네나 남었어 장자나 한장이 남었네 장안에 범 들었네 장안에 범 들었어 일자포수가9) 다 모여도 그 범 한나를 못 잡고 그절문절 다 가네 어허나 품바나 잘헌다 어얼씨구씨구 잘헌다 1) 일월이~야송송 : 해와 달이 초랑초랑함. 야(夜)는 밤. 2) 천난국(千難局) : 매우 어려운 판국. 3) 새자나 → 사자나. 4) 형차 → 행차. 5) 음루(淫淚) : 그칠 줄 모르고 흐르는 눈물. 6) 외곽 청춘에 관운장에 → 오관 참장(五關斬將)에 관운장(關雲長)에 : 관우가 조조의 진중을 떠나 유비를 찾아 가는 도중에 다섯 개의 관문에서 여섯 장수의 목을 벰. 천장은 그 장소에서 대적할 사람이 없는 제일인 자. 7) 육날메털 : 육날 미투리. 미투리의 일종. 8) 기자나 → 구자나. 9) 일자포수(一字砲手) : 총을 한번 쏘아서 바로 맞히는 익숙한 포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