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상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서상호 |
지역개관 | 영광~나주간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는 봉학마을은 마을 뒷산인 병풍산에 세 마리의 학이 날아들었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총 가구 45호에 박씨 서씨 최씨 등이 많이 거주하며, 마을 앞에 넓게 자리잡은 느릿개들에서 전통적으로 농사를 지어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2월 23일에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학동(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면 송학리) 봉학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상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상여를 멜 때 <관아소리>를 하고, 상여를 메고 갈 때는 <늦은 어널소리>, 비탈진 산 기슭을 올라가면서 <잦은 어널소리>, 묘 앞에 당도하기 전에는 <나무아미타불>을 부른다. |
가사 | 관암보살
관암보살 어허 어허어 북망산천 멀다더니 건너 안산 이 보살 관암보살 어허 어허허이 헤에야 어허 어리넘자 너화널 어허 어허허이 헤에야 어허 어리넘자 어화널 놀다가 가세 놀다가 가세 저 달 지도록 어화널 어허 어허허이 헤에야 어허 어리넘자 어화널 갈거자야 서러를 마라 보낼 송자 어화널 어허 어허허이 헤에야 어허 어리넘자 어화널 어널 어허널 어허이 어화널 어널 어허널 어허이 어화널 세월아 봄철아 가지를 마라 아까운 청춘이 다 늙어간다 어화널 어화널 허허이 허화널 어널 어허널 어허이 어화널 잘도나 하시네 잘도나 하여 우리 계원들 다 잘도 헌다 어화널 어화널 허허이 허화널 어널 어허널 어허이 어화널 명전 공또1) 앞을 서고 영결종천은2) 아주를 간다 어화널 어화널 허허이 허화널 어널 어허널 어허이 어화널 어널 어허널 어널 어허널 올라간다 올라가네 어널 어허널 대명당3) 찾어서 올라를 가네 어널 어허널 명전 공포 압을 세우고 어널 어허널 대명당 찾아서 어서 가세 어널 어허널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명당 찾아서 관세음보살 우리 계원들 관세음보살 어서 가세 어널 어허널 1) 명전 공포 → 명정 공포(銘旌 功布) : 상례때 앞세우는 것으로 명정은 죽은 사람의 본관, 성씨 등을 써서 장대에 단 기(旗)이며 공포는 관을 닦는데 쓰는 헝겊임. 2) 영결종천(永訣終天) : 죽어서 영원히 이별함. 3) 대명당(大明當) : 아주 좋은 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