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의 아이어르는소리-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덕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덕남 |
지역개관 | 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마을은 봉강면 전체가 산맥을 사이에 두고 승주군과 맞닿아 있는 가운데, 지곡리는 산지에서 벗어나 비교적 너른 들이 있는 곳에 자리했다. 예로부터 풀이 잘 자란다하여 초실이라고도 했다. 파평윤시 자작일촌으로 총85가 거주하며, 벼농사가 주소득원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4일에 전라남도 광양시(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에서 채집한 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덕남이 참여하였다. 아이 어르는 소리 가운데에서도 딸을 어르는 딸타령은 유난히 노랫말이 다정하고 가식이 없다. 커서 무엇이 되라는 내용의 아들타령에 비해서, 당장 어머니에게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딸의 역할묘사가 재미있다. |
가사 | 딸아 딸아 막난딸아1)
곱게 먹고 곱게 커라 오동나무 장롱 에다 구와장석2) 걸어주마 삼사월에는 너물딸3) 오뉴월에는 냉수딸 동지섣달에는 숭늉딸 도굿대4) 깡깡 내 딸이냐 조레잔반5) 내 딸이냐 보디비6) 찰칵 내 딸이냐 어서 먹고 어서 커라 1) 막난딸 : 막내딸. 2) 구와장석 → 국화장석 : 장농에다 붙이는 국화모양의 금속 장식. 3) 너물 : 나물. 4) 도굿대 : 절구공이. 5) 조레잔반 → 조리잔반 : 조리는 곡식을 일때 쓰는 것이나 잔반의 뜻은 모름. 6) 보디비 : 보디집을 잘못 부름. 보디집은 바디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