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칭칭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양군 진상면 섬거리의 칭칭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태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태영 |
지역개관 | 섬거마을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경전선 철도가 지나가는 곳으로, 예로부터 역(驛)이 있어서 역촌으로 불렀다. 마을의 서북쪽에 삼정봉(三政峰), 북쪽에 각상봉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는 가운데, 수어댐에서 내려와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수어천이 앞으로 흐른다. 230여호의 큰 마을이며 음력 정월 초이튿날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3일에 전라남도 광양시(광양군) 진상면 섬거리에서 채집한 칭칭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태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명절날 둥그렇게 돌면서 춤을 추며 북과 장고에 맞춰 이 노래를 부른다. 선소리꾼이 원의 중심에서 소리를 메기고 다른 사람들이 받는 소리를 한다. |
가사 | 칭칭나네
칭친나네 대밭에 댓잎도 떨떨허고 아하 칭칭나네 솔밭에 솔잎도 흔들흔들 아하 칭칭나네 우리 군사 녹뒤군사1) 아하 칭칭나네 하늘이 낮아서 몬 뛰겄냐 아하 칭칭나네 신 떨어지면 신 사주고 아하 칭칭나네 배고프면 밥 믹여주고 아하 칭칭나네 치기나 칭칭나네 아하 칭칭나네 아하 칭칭나네 아하 칭칭나네 성주로다 성주로다 아하 칭칭나네 이 터전에 성주로세 아하 칭칭나네 초가삼가2) 집을 짓고 아하 칭칭나네 양친 부모를 뫼셔 놓고 아하 칭칭나네 천년만년 살어보세 아하 칭칭나네 세월아 세월아 가지마라 아하 칭칭나네 네가 가면 내가 가고 아하 칭칭나네 청춘 가면 백발 오니 아하 칭칭나네 제발 덕분에 가지마라 아하 칭칭나네 엊그제께 청춘인데 아하 칭칭나네 오날이야 백발이네 아하 칭칭나네 껌던 머리 희어지고 아하 칭칭나네 곱던 얼굴 주름가니 아하 칭칭나네 원수 원수 백발 원수 아하 칭칭나네 이놈의 백발을 잡아보세 아하 칭칭나네 한 손으로 망치 들고 아하 칭칭나네 한 손으로 능처매고3) 아하 칭칭나네 치고 받고 때리봐도 아하 칭칭나네 무정한 세월은 가고마네 아하 칭칭나네 등장가세4) 등장가세 아하 칭칭나네 하나님 앞으로 등장가세 아하 칭칭나네 청춘몽을 깨와주고 아하 칭칭나네 세월 세월 무정한 세월 아하 칭칭나네 나를 두고 자초5) 갔는가 아하 칭칭나네 이러다가 저러다가 아하 칭칭나네 아차 한번 죽어지면 아하 칭칭나네 무주공산 터를 닦고 아하 칭칭나네 송죽으로 울을 막아 아하 칭칭나네 짠도박을6) 이불 삼고 아하 칭칭나네 자는 듯이 누웠으니 아하 칭칭나네 처량허다 처량허다 아하 칭칭나네 이내 죽음 처량허세 아하 칭칭나네 노세 좋네 젊어 놀아 아하 칭칭나네 늙어지면 못 노나니 아하 칭칭나네 1) 녹뒤군사 → 녹두군사 : 녹두의 야무진 점을 빌어 모인 사람들을 미화한 말. 2) 초가삼가 → 초가삼간(草家三間). 3) 능처 → 능치 : 방망이. 4) 등장(等狀) : 여러 사람이 연명해서 관아에 무엇을 호소하는 일. 5) 자초 : 빨리. 6) 짠도박 : 잔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