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베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양군 봉강면 지곡리의 칭칭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덕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덕남 |
지역개관 | 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마을은 봉강면 전체가 산맥을 사이에 두고 승주군과 맞닿아 있는 가운데, 지곡리는 산지에서 벗어나 비교적 너른 들이 있는 곳에 자리했다. 예로부터 풀이 잘 자란다하여 초실이라고도 했다. 파평윤시 자작일촌으로 총85가 거주하며, 벼농사가 주소득원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4일에 전라남도 광양시(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에서 채집한 베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덕남이 참여하였다. 가창자가 시어머니에게서 배웠다는 이 노래는 흥그레타령 식의 즉흥선율로자유롭게 불러나간다. |
가사 | 세상이 자루하야1)
금자옥자 자는 나무 옥난강에 베틀놓고 가로 세장 가로 질러 앉일개는 돋아놓고 분테라고 두른 양은 비오고 개인 아침 허리 안개 두른 듯고 몰캐라고 치는 양은 크다 큰 장골안에2) 맘을3) 먹여서 던진 듯고 보두집 치는 소리는 백면 산천4) 귀울리고 북이라고 거는 양은 지오방에5) 넘나듯고 잉애대 삼형제는 만군사를 거느리고 고을살이 사는 듯고 나오산대 뛰는 양은 강태공에 낚시던가 우수강에 띄운 듯고 눌기대라 노는 양은 강태공의 낚시던가 우수강에 띄운 듯고 눌기대라 노는 양은 세간이나 있는 듯이 우줄우줄 놀아난다 철개신6) 죽은 나무 은끈에다 목을 메고 지오방에 드난 듯고 용두머리 우는 양은 한밤중 달가운데 외기러기 우는 듯고 우절콩 도투마리 정자절쿵 넘어갈 때 대명태 짓는 소리는 초한이 상조로다7) 1) 자루하야 : 지루하여. 2) 장골 : (뜻 모름). 3) 맘 : 재갈? 4) 백면산천(白面山川). 5) 지오방 : 기생방. 6) 철개신 : 베틀신. 7) 초한이 상조로다 : 초한(楚漢)이 상조(相遭). 초나라와 한나라가 싸우듯 요란한 소리가 난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