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댕기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의 베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덕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덕남 |
지역개관 | 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마을은 봉강면 전체가 산맥을 사이에 두고 승주군과 맞닿아 있는 가운데, 지곡리는 산지에서 벗어나 비교적 너른 들이 있는 곳에 자리했다. 예로부터 풀이 잘 자란다하여 초실이라고도 했다. 파평윤시 자작일촌으로 총85가 거주하며, 벼농사가 주소득원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4일에 전라남도 광양시(광양군) 봉강면 지곡리 조실에서 채집한 댕기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덕남이 참여하였다. 결혼을 앞둔 동네 처녀들이 같이 모여 노방주 수건을 만드느라 실올을 풀거나 골무를 만들면서 이 노래를 불렀다. |
가사 | 열석냥에 노는 댕기
중지머리1) 추심 댕기2) 울어마니 말씀 댕기 울아버지 떠온 댕기 우리 어마니 접은 댕기 우리 올캐 용심댕기3) 울오라베 눈치댕기 나 혼자 사랑 댕기 반중등을4) 질러드려 성안에나 널을 놓고 성밖에서 널을 뛰다 잊었구나 잊었구나 요내 댕기 잊었구나 서청구 도령씨는 만구책을5) 옆에 끼고 이 성밖에 다니다가 줏었는가 줏었는가 요내 댕기 줏었는가 연분있어 줏은 댕기 연분없이 너를 주랴 시운있어6) 주은 댕기 시운없이 너를 주랴 구시원 세단풍에7) 수수대랑 양지대랑8) 넘넘은 때9) 너를 주마 치마귀랑 도포귀랑 한테 달 때10) 너를 주마 해명석을11) 풀쳐놓고 잠 잘 때 너를 주마 큰 솥 걸고 동솥12) 걸고 밥헐 적에 너를 주마 에라 요놈 요망한 놈 은칼같은 돈을 주면 그만 댕기 나도 산다 1) 중지머리 : 땋은 머리. 2) 추심댕기 → 투심댕기(套心-) : 투심으로 장식한 댕기. 3) 용심(用心) : 심술궂은 마음. 4) 반잔등 : 반중동(半中-) : 반, 가운데. 5) 만구책 : 만권책(萬卷冊)인 듯. 6) 시운(時運) : 때의 운수. 7) 구시월 세단풍(細丹楓) : 구시월의 고운 단풍이라는 뜻으로 당장 보기에는 좋아도 얼마 가지 않음을 뜻함. 8) 양지 : 양지꽃인 듯. 9) 넘넘은 때 : 시들은 때. 10) 달 때 → 닿을 때. 11) 해명석 → 화문석. 12) 동솥 : 작고 오목한 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