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흥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광양군 진상면 섬거리의 신세타령-나도야야 클 적에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남도편은 CD 20장, 342곡으로 구성되며, 1993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두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유두례 |
지역개관 | 섬거마을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경전선 철도가 지나가는 곳으로, 예로부터 역(驛)이 있어서 역촌으로 불렀다. 마을의 서북쪽에 삼정봉(三政峰), 북쪽에 각상봉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는 가운데, 수어댐에서 내려와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수어천이 앞으로 흐른다. 230여호의 큰 마을이며 음력 정월 초이튿날에 동제(洞祭)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3월 3일에 전라남도 광양시(광양군) 진상면 섬거리에서 채집한 흥글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두례가 참여하였다. 짤막한 사설이지만 그 행간에 숨어 있는 시집살이의 고난과 한숨이 더욱 진하게 실감되는 노래이다. 사설의 내용으로는 신세타령이지만 현지에서는 혼자서 흥얼흥얼 부르는 노래라는 뜻에서 흥글소리 또는 흥그레타령이라고도 한다. 흥글소리는 여성들의 노래로 위의 사설처럼 여성의 삶의 고난을 직정적으로 토로하는 것이 특징이다. |
가사 | 울 어매는 날 설 적에
감감초를 원했던가 살아갈수록 감감허네 울 어매는 날 설 적에 왕대 죽신을1) 원했던가 매디매디도 설움이네 울 어매는 나를 키워서 놈 안 준다고 허드마는 싫은 듯이 놈을 줘서 이 설움 땀새도2) 못 살겄고 잠 땀새도 못 살겄네 1) 죽신 : 죽순. 2) 땀새도 : 때문에도. |